갯벌에 사는 동·식물이 육상의 오염물질 분해를 촉진시켜 정화 효과를 높인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확인했다. 갯벌의 탄소흡수능력, 서식처 기능 등에 관한 국내·외 연구는 있었...
경남 마산만 봉암갯벌 전경. 김태우 박사 제공
17일 서울대에 따르면 지구환경과학부 김태우 박사와 김종성 교수가 주도하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캐나다 서스캐처원 대학, 군산대 등이 참여한 산학연 공동 연구팀은 국내 대표적인 내만형 갯벌인 경남 마산만 봉암갯벌의 정화능력을 평가한 결과를 공개했다. 봉암갯벌은 도심과 가까워 오염물질 유입에 취약한 곳으로 평가받는다. 분석 결과 갯벌 자연 상태에서 60일이 경과된 후 실험구의 평균 오염물질 농도가 최소 57%에서 최대 67%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PAHs는 최초 시점 2450 ng g-1에서 1016 ng g-1로 58.5% 감소했고, APs는 2150에서 920으로 57.2%, SOs는 550에서 183으로 66.7%로 각각 감소했다. 시화호 오염 퇴적물의 잠재독성도 최대 90% 감소했다. 김태우 박사는 “동·식물이 함께 섞인 실험구에서 오염물질 농도와 잠재독성이 최대치로 감소했다”고 말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리모델링 진척땐, 서울서 11만가구 공급 효과'국내 최초 별동증축 리모델링'더샵둔촌포레' 청약 93대1
Read more »
[단독]LG이노텍, 재생에너지 ‘20년 구매’ 초대형 계약…RE100 불모지 한국선 최초LG이노텍이 2030년까지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을 달성하기 위해 대규모 재생에너지 구매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애플 등 글로벌 고객사 요구...
Read more »
북반구의 대규모 대기 흐름, 왜 강력해졌을까GIST 윤진호 교수팀, 한-미 공동연구 이끌어 겨울철 북반구 이상기후 현상의 발생 요인 규명
Read more »
'1달러 공습 中테무, 노동착취 산물'… 美의회, 인권카드 꺼냈다테무, 5100만명 확보 급성장에위구르 노동방지법 적용 추진제조업 아닌 유통사로는 최초
Read more »
점자 교원 양성하고, 17개 광역시·도에 점자교육원 설치한다점자 교원 자격제도 및 점자 능력 검정 제도가 도입되고, 전국 17개 광역시·도에 점자를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점자교육원이 지정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8일 사회관계장관 회의에서...
Read more »
27년차 육상 감독의 충고 '유튜브로 경기 보는 시대… 지도자 역량 강화할 기회로'27년 차 육상 지도자인 김유미 경기 광명 철산중학교 육상부 감독은 22일 한국일보 인터뷰에서 '지상파 스포츠 뉴스에서나 가끔 육상 소식을 다루던 과거와 비교하면 격세지감'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양예빈(안동시청), 김민지(화성시청) 등 일부 선수가 '육상 여신'으로 불리며 인기몰이를 하는 현재 상황은 육상계에 흔치 않은 호재라는 얘기다. 마라톤 등 육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