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강태우 기자=SK하이닉스[000660]가 맞춤형(커스텀) 고대역폭 메모리(HBM)인 6세대 제품 HBM4에 맞춰 차세대 패...
강태우 기자=SK하이닉스가 맞춤형 고대역폭 메모리인 6세대 제품 HBM4에 맞춰 차세대 패키징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낸다.이규제 SK하이닉스 PKG제품개발 담당 부사장은 자사 뉴스룸에 공개된 인터뷰에서"커스텀 HBM에 맞춰 차세대 패키징 기술을 개발하겠다"며"방열 성능이 우수한 기존 어드밴스드 MR-MUF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는 한편, 하이브리드 본딩 등 새로운 기술들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특히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은 16단 이상 HBM 제품에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어드밴스드 MR-MUF 기술을 적용한 HBM4 12단 제품을 내년 하반기에 출하하고, 오는 2026년 수요 발생 시점에 맞춰 HBM4 16단 제품 출시를 준비한다는 방침이다.앞서 SK하이닉스는 지난 2009년 고성능 메모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실리콘관통전극 기술에 주목해 HBM 개발 착수했고, 4년 뒤인 2013년 12월 첫 HBM을 내놓았다. SK하이닉스가 'HBM 1위' 자리에 오른 것은 지난 2019년 MR-MUF를 적용해 개발한 HBM2E부터다. 기존 MR-MUF는 반도체 칩을 쌓아 올린 뒤 칩과 칩 사이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공간 사이에 액체 형태의 보호재를 주입하고 굳히는 공정이다.
HBM3 12단부터는 기존보다 칩의 적층이 늘어나면서 방열 성능을 강화하는 기술이 필요해졌다. 기존 MR-MUF 방식으로는 HBM3 12단의 더 얇아진 칩들이 휘어지는 현상을 다루기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이 부사장은"어드밴스드 MR-MUF를 통해 지난해 세계 최초로 12단 HBM3 개발 및 양산에 성공했으며, 올해 3월 세계 최고 성능의 HBM3E를 양산하게 됐다"며"이 기술은 하반기부터 인공지능 빅테크 기업에 공급될 12단 HBM3E에도 적용되고 있고, 이후 활용 범위는 더 넓어질 것"이라고 했다.이 부사장은"얼마 전 MR-MUF가 고단 적층은 구현하기 어렵다는 소문이 업계에 돌았던 적이 있다"며"이 때문에 우리는 MR-MUF가 고단 적층에도 최적의 기술이라는 사실을 고객과 소통하는 데 힘을 쏟았고, 그 결과 이는 고객의 신뢰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SK하이닉스, 용인 1기 팹 투자 확정…9.4조 투입글로벌 AI 반도체 거점 조성 HBM 등 차세대 D램 생산라인 2027년 5월 준공 예정
Read more »
'HBM 효과' SK하이닉스, 오늘 2분기 성적표…영업익 5조 넘을 듯(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최근 수요가 급증한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에서 주도권을 쥐고 있는 SK하이닉스[000660]가 25일 ...
Read more »
HBM 날개단 SK하이닉스, 6년만에 5조원대 영업익…매출 역대 최대(종합)(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SK하이닉스[000660]가 올해 2분기 고대역폭 메모리(HBM) 효과로 6년 만에 분기 영업이익 5조원대를 ...
Read more »
SK하이닉스 'HBM3E, 올해 HBM 출하량 절반…12단, 4분기 공급'(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강태우 기자=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 증가로 올해 2분기 사상 최대 매출 기록을 세운 SK하이닉스는 5세대 H...
Read more »
HBM 날개 단 SK하이닉스 …매출 사상 최대2분기 영업익 6년만에 5조원대AI반도체 수요 폭증하고D램·낸드값 상승 호재까지상반기 성과급 '150%' 확정'올해 HBM매출 300% 성장12단 신제품 4분기에 공급'
Read more »
HBM 이어 그래픽메모리 전쟁...SK하이닉스, 최고속도 GDDR7 공개3대 메모리 반도체 업체인 삼성전자·SK하이닉스·미국 마이크론이 하반기에 모두 GDDR7 양산에 돌입하며 정면 승부를 벌이게 됐다. GDDR의 데이터 전송 통로(핀)는 수십 개 수준으로, 고대역폭메모리(HBM)보다는 한참 적지만 핀 1개당 데이터 전송 속도에서는 HBM을 능가해 활용 잠재력이 크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하반기 엔비디아·AMD 등 주요 고객사 확보를 위한 메모리 3사의 GDDR 경쟁이 HBM 경쟁만큼이나 치열해질 것'이라 말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