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보조금 철폐 시 시장 점유율 상승 전망 AI·로봇기술 긍정 평가
AI·로봇기술 긍정 평가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역대 최고치 기록을 갈아치웠다. 월가의 대표적인 테슬라 강세론자가 목표주가를 주당 515달러로 대폭 올리면서 강세장의 경우 최고 650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내다본 여파다.
16일 테슬라는 26.79달러 급등한 463.02달러로 마감하며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지난달 5일 대선 이후 주가가 2배 가까이 폭등한 것이다. 테슬라 시가총액은 1조4863억달러까지 불어났다.전기차 보조금 철폐는 역설적이게도 테슬라에게 호재로 작용했다.테슬라를 둘러싼 낙관적인 전망도 연달아 나오며 힘을 보탰다.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테슬라 강세가 유지될 경우 주가가 1년 뒤 65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이 경우 테슬라의 시총은 2조1000억달러에 달하게 된다.실제로 월가의 많은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자율주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더 유리한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한다.미즈호증권은 세 가지 근거를 들었다. 먼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인한 자율주행 규제가 완화다. 또 전기차 세액공제 정책이 폐지되면 시장에서 테슬라가 경쟁사보다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글로벌 자동차 생산량이 성장할 것이란 전망도 제기했다.
미즈호증권은 테슬라의 기업가치를 약 1조 8000억달러로 평가했다. 자동차와 에너지 부문 7110억달러, 자율주행과 로보택시 부문 6140억달러,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 4720억달러 등이다. 미즈호는 자율주행, 휴머노이드 사업의 가치가 1.5배가량 더 증가할 가능성도 열어뒀다. 테슬라 기업가치가 2조달러를 웃돌 수 있다는 의미다. 같은 날 트루이스트 역시 로보택시 등 기대감을 이유로 테슬라 목표주가를 기존 238달러에서 360달러로 높였다. 앞서 지난 6일에는 뱅크오브아메리카는 보고서를 통해 테슬라에 대한 투자 등급을 ‘매수’로 유지한 채 목표가를 기존의 350달러에서 4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다만 테슬라 목표주가 평균치는 277.8달러 수준으로, 현재 주가보다 33.3%가량 낮다. 골드만삭스와 다이와증권 등은 테슬라 주가가 기업가치 대비 과도한 수준이라고 보고 ‘중립’ 의견을 유지하고 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이번 주 실적 발표 앞두고…엔비디아 AI칩 ‘블랙웰’ 또 생산 차질설 무각한국시간 21일 엔비디아 실적발표 신제품 블랙웰 생산 차질설 지속 이번엔 서버 과열 문제 부각나와 앞서 전력 부품 성능 미달 지적도 월가에서는 연달아 목표가 상향 HSBC는 “앞으로 200달러 간다”
Read more »
'불황 먹고 산다' NPL업계, 실탄확보 총력5개사 올해 3조원 자금 마련은행권 부실채권 14조 넘어'NPL 업계 내년에도 성장'전문회사 신용등급 줄상향
Read more »
'머스크 적대는 실수?'…美 민주, 더 세진 억만장자에 화해 손짓(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영향력이 더 커지면서 그동안 그를 적대시한 미국 민주당의 일부 정...
Read more »
“갓비디아 아직 안 끝났어” 월가 목표주가 올려엔비디아 주가 주춤하지만 4분기 블랙웰 본격 생산 임박 JP모건 등 줄줄이 목표가 상향
Read more »
‘영원히 정상에 머물 수는 없다’ 엔비디아 주식 매도론 고개美자산운용사 “엔비디아 팔아라” 과도한 기대감·슈마컴 불확실성 월가는 여전히 목표가 상향 나서
Read more »
“CJ, 자회사 줄부진에 기업가치 제고 방안도 불투명”…목표가↓하나증권은 18일 CJ에 대해 상장 자회사들의 주가 하락에 따른 지분가치 감소가 불가피하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16만원에서 14만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다만 최근 주가 하락은 매수 기회로 판단한다며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CJ의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6748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9% 증가했다. 이는 컨센서스(시장기대치)를 10% 하회한 수치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