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로 본사 옮기는 기업 급증 32곳서 186곳...10년만 6배↑ 과한 규제에 투자∙인제도 없어
과한 규제에 투자∙인제도 없어 # 서울 테헤란로에 있던 핀테크 스타트업 A사. 금융규제 탓에 사업 확장이 어렵게 되자 최근 본사를 미국 캘리포니아로 옮겼다. 국가 간 결제를 위해 세계 1위 전자결제대행 서비스 ‘스트라이프’를 이용해야 하는데, 국내에서는 전자금융거래법 규제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었다. 회사 대표는 “글로벌 핀테크 스타트업을 키우겠다면서 전 세계가 쓰는 글로벌 PG 서비스를 쓰지 못하게 하는 게 말이 되느냐”며 “보다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환경에서 사업을 하기 위해 해외 이전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처럼 국내에서 창업하고도 본사를 해외로 이전하는 스타트업이 늘고 있다. 2일 매일경제가 벤처투자정보업체 더브이씨에 의뢰해 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외로 나간 한국 스타트업 수가 2014년 32곳에서 지난해 186곳으로, 10년 만에 6배 늘어났다. 대부분이 한국에서 창업한 뒤 본사를 해외로 옮긴 ‘플립’ 스타트업이다. 해외 진출이 화두로 부상한 탓도 있지만, 국내 시장의 △고질적 규제 △투자 부진 △인재 유출 △조세 부담이 가장 큰 이유라는 게 스타트업 업계의 지적이다. 국내 창업 생태계가 해외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얘기다. 원격진료나 법률 플랫폼, 인공지능 의료 등 비즈니스 모델은 한국에서는 불법이지만 해외에선 합법이다. 유효상 유니콘경영경제연구원장은 “비슷한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해외 후발주자가 연 매출 1000억원을 달성하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테스트조차 어렵다”며 “국내에서는 혁신적 비즈니즈 모델일수록 제한을 받을 때가 많아 해외로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해외로 본사를 이전한 한 스타트업 대표는 “본사를 미국으로 옮기니 해외 벤처캐피털 투자 유치에 유리한 것은 물론, 신산업 분야 규제 리스크도 적고 인재 유치도 훨씬 쉽다”며 “이 같은 장점 때문에 앞으로 곧바로 해외에서 창업을 하거나 해외로 본사를 옮기는 K스타트업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영상] 중국 '저비용 AI'에 전세계 '발칵'…트럼프, 딥시크 돌풍에 결국(서울=연합뉴스) 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이었던 인공지능(AI) 선두 주자 엔비디아가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 ...
Read more »
딥시크, 낮은 비용과 뛰어난 성능으로 미국 AI 산업 실추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미국 AI 산업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Read more »
대통령 중심제의 나라에서 대통령이 없습니다윤석열 대통령이 다시 돌아올지, 탄핵이 결정되면 누가 대통령이 될지…. 대통령의 리더십 부재가 국가 운명에 얼마나 치명적일 수 있는지를 온 국민이 절감하고 있습니다. 탄핵 소추의 시련을 겪은 첫 대통령은 노무현 대통령이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국면에서 이헌재 경제부총리는 어떤 행보로 경제 위기에 대응했을까요. 노무현 대통령의 성공은, 실패는, 지금 와서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요.
Read more »
작년 네이버페이 해외 결제 7.7배 증가...결제 가장 많은 곳은 일본 ‘빅카메라’해외가맹점 확대·프로모션 진행에 네이버페이 해외 QR결제액 전년 대비 결제액 7.7배 성장
Read more »
소상공인·中企 지원에 역대 최대 39조원 공급당정, 설 명절 내수대책 발표주요 성수품도 평시 1.5배 늘려
Read more »
“내수진작 하랬더니 해외로”…임시공휴일 지정에 비행기 티켓 예약 급증“설 해외여행 예약 2배” 장기연휴로 기업생산 차질 경기부양 효과 회의론 고개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