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최저임금 1만원으로 올라 청소·경비 등 노인 일자리 악영향 정부, 올해 노인일자리 2조 투입 100만명에 한달 30~70만원 지급 ‘노인 최저임금’ 차등적용 주장도 “月 100만원대 일자리 만들자”
“月 100만원대 일자리 만들자” 최저임금 1만원 시대가 내년에 도래합니다. 노동계가 2000년대 들어 외치던 구호가 현실화한 것입니다.특히 최저임금 인상은 노인 일자리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정부는 복지 차원에서 노인 일자리를 대거 늘리고 있죠. 이번 기획에선 최저임금과 노인 일자리 관계를 파헤쳐보려고 합니다.그녀는 수도권 산업단지에 위치한 한 식품공장에서 일했었는데, 최저임금 급격한 인상으로 수지타산을 맞추기 어려워진 공장이 문을 닫자 그녀 또한 일자리를 잃은 것입니다. 월 100만원대를 벌며 자립해왔던 그녀는 최저임금 인상 정책의 피해자입니다.
즉, 최저임금 인상은 고령자 내에서도 희비를 엇갈리게 합니다. 상대적으로 취업시장서 취약한 위치에 있는 근로자들은 최저임금 상승으로 일자리를 잃거나 근로시간이 대폭 줄어들게 됩니다.문재인 정부 초반 때인 2017년 노인 일자리 예산은 5231억원이었습니다. 올해 노인 일자리 사업 예산은 2조264억원으로 7년 새 4배가 증가합니다. 올해 기준 노인 일자리 사업 수혜자는 100만명에 달합니다.국가의 자원을 배분하는 1차 시장이 노동시장이고, 2차 시장이 복지시장이라고 한다면, 1차에서 나오는 부작용을 2차에서 메워주는 형국입니다. 문제는 현행과 같이 제도가 유지될 경우 노인일자리 사업 예산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데에 있습니다. 갈수록 노인은 많아지는데 국민연금 등 사회보장은 제대로 갖춰지지 못하니 정부가 인위적으로 노인 일자리를 만들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경비, 돌봄영역뿐만 아니라 카페 운영, 통학 안전관리 등 여러 영역에서 노인들에게 일자리가 생긴다면, 노인 입장에서도 좋은 상황입니다. 최저임금을 받으면 월 200만원 초반을 받아야 하지만, 만약 노인 최저임금이 설정되면 월 120만원을 받게 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대다수 노인 입장에선 일자리가 있다는 것 자체가 좋습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당첨 기원” 청약 광풍 몰아치는데…내집마련 더 멀어져간다니, 이게 무슨 일집값은 못 잡고 공급만 막아 “2005년 이후 청약광풍 재현”
Read more »
코인 대통령이라던 ‘이 남자’ 말 꺼내기 무섭게…비트코인 출렁, 이게 무슨 일“코인산업 육성 中 선점안돼” 바이든 정부 규제 철폐 약속 한달간 20% 치솟던 비트코인 막상 연설 시작하자 3% 하락
Read more »
[단독] “아는척 마, 성과 깎여”…범인 잡아놓고도 검찰에 못 넘긴다는데, 이게 무슨 일다른 경찰서에서 범인 검거땐 일부러 협조 안하는 경우 많아 검거율 성과 경쟁에 책임 회피
Read more »
요즘 우리 집 구호는 '오이 111', 이게 무슨 뜻이냐면물 폭탄을 쏟아붓던 게 불과 얼마 전인데, 언제 그런 일이 있기나 했나 할 정도로 폭염과 관련된 안전 안내 문자가 연일 오고 있다. 집 밖으로 한 걸음만 내디뎌도 이글거리는 햇빛이 널 통구이로 만들어 버리겠어 하고 작정한 듯 달려든다. 이런 날씨에 야외에서 혹은 변변한 냉방장치 하나 없이 숨 막히는 공간에서 일하...
Read more »
'이게 대통령이 할 일' 이재명 비전대회 된 민주당 전대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가운데, 지난 주말부터 시작된 시도당 합동연설대회는 사실상 이재명 후보의 '대통령이 해야 할 일' 브리핑과 최고위원 8인 후보들의 대정부 '전투력' 경쟁이 주를 이뤘다. 이 후보와의 지역적·개인적 인연을 강조하는 '명심 대결' 장면도 쏟아졌다. 당내 다양성을 강조하며 '...
Read more »
윤 대통령, 한동훈 지도부와 불편한 동거 시작···‘이미 시작된 권력이동’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불편한 동거가 24일 시작됐다. 거의 3년의 임기가 남은 현직 대통령과 ‘반윤석열’ ‘미래권력’ 후보로 당선된 한 대표의 관계는 긴장감...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