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9일 해외 직구(직접구매) 제품의 국내 반입과 관련해 “안전성 검사와 같은 사후관리 위주로 진행하고, 위해성이 확인된 경우에만 반입을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
정부가 19일 해외 직구 제품의 국내 반입과 관련해 “안전성 검사와 같은 사후관리 위주로 진행하고, 위해성이 확인된 경우에만 반입을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6일 국내 안전 인증을 받지 않은 제품의 해외 직구를 사실상 금지한다는 방침을 밝힌 지 사흘 만에 이를 철회한 셈이다. 소비자 권리를 과도하게 침해한다는 반발이 거세지자 한 발 물러선 것인데, 섣부른 정책 발표와 번복이 이어지면서 소비자 혼란을 부추기고 정책 신뢰도를 떨어뜨린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정원 국무조정실 국무2차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80개 품목의 해외직구를 사전적으로 전면 금지한다는 건 사실이 아니다”며 “위해성이 없는 제품의 직구를 막을 이유가 전혀 없다”고 말했다. 이 차장은 “최근 어린이제품 등 해외직구 제품의 위해성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정부가 기존에 하던 위해성 검사 등을 강화해 보겠다는 것”이라며 “ 학용품 품목의 경우 종류가 수천, 수만 가지다. 이를 한꺼번에 차단한다는 건 현실적으로 가능한 이야기도 아니고 검토하지도 않았다”고 했다. 기존 위해성 검사를 통해 유해물질 등이 확인된 제품만 반입을 차단할 뿐 품목 전체에 이를 확대 적용하지 않겠다는 취지다.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에서 판매하는 유아용품에 발암물질이 검출되는 등 안전 우려가 커지자 정부는 지난 16일 KC 인증을 받지 않은 일부 제품의 해외 직구를 원천 차단하는 대책을 내놨다. 정부는 관세법을 근거로 6월 중 반입 차단을 시행하고, 향후 법률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이는 고물가 시대에 값싼 해외 제품을 구매하려는 소비자의 선택권을 과도하게 침해하는 것이라는 반발로 이어졌고, 정치권도 비판에 가세하며 논란이 확산됐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10만원 장난감 1만원이면 사는데”…뿔난 소비자에 두손 든 정부‘KC 미인증 해외직구 금지’ 정부, 사흘 만에 사실상 철회 정부 “80개 품목 전면차단 아냐 위해성 확인된 제품만 반입 제한”
Read more »
유승민 “KC 미인증 해외직구 금지, 무식한 정책”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은 18일 정부의 80개 제품에 대한 국가인증통합마크(KC) 미인증 제품에 대한 해외직구 금지 조치에 대해 “안전을 내세워 포괄적, 일방적으로 해외직구...
Read more »
한달 만에 침묵 깬 한동훈 'KC 미인증 직구 금지? 과도해'총선 후 첫 현안 메시지... "우리는 규제 과감히 혁파하고 공정한 경쟁·선택권 보장하는 정부"
Read more »
'골프채나 막아' '젊은층 노렸냐' KC 미인증 직구 막자 나온 반응들국민의 안전과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80개 품목에 안전 인증이 없다면 해당 제품의 해외 직접구매(직구)가 원천 금지되는 조치가 다음 달 시행된다.16일 정...
Read more »
한동훈, 당권 도전 앞두고 ‘비윤’ 입장 걷나…‘정부 해외직구 규제’ 비판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정부의 해외직구 규제방안을 과도한 규제로 비판하며 재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한 달 만에 내놓은 공개 메시지에서 윤...
Read more »
오락가락 정책으로 혼란 키운 정부의 ‘해외직구 금지’실효성 문제·소비자 피해 우려에 여당 내 비판 이어져…정부, ‘선별 금지’로 급선회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