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몬·위메프 정산 지연 사태의 여파로 해피머니 상품권이 사실상 ‘휴지 조각’이 되자, 이 상품권을 헌혈 기념품으로 제공해온 대한적십자사(적십자사)에도 불똥이 튀었다. 1일 적십자사 설명을 들어보면, 적십자사는 올해 1~7월 해피머니 상품권 약 33억원치를 구매했다. 적
성동구가 6월25일 오전 성동광진교육지원청 인근 헌혈버스에서 연 ‘생명나눔 사랑의 헌혈 행사'에서 한 시민이 헌혈하고 있다. 연합뉴스1일 적십자사 설명을 들어보면, 적십자사는 올해 1~7월 해피머니 상품권 약 33억원치를 구매했다. 적십자사는 헌혈 기념품으로 지급할 해피머니 상품권을 매달 구매한다.
하지만 티몬·위메프 정산 지연 사태가 불거지면서 이들 플랫폼이 주요 유통처였던 해피머니 상품권도 7월23일을 기점으로 온·오프라인 사용처가 모두 막혔다. 네이버페이·엔에이치엔페이코 등 간편결제사들은 해피머니 상품권을 자사 포인트로 전환하지 못하게 막았고, 서점·영화관·편의점 등 기존 가맹점들도 상품권 사용이 불가능하다고 공지했다. 현금성 상품권인 해피머니 상품권은 티몬과 위메프에서 7% 이상의 높은 할인율로 판매돼왔다.이에 적십자사는 7월25일부터 해피머니 상품권을 헌혈 기념품에서 제외했다. 또 이미 지급된 해피머니 상품권은 영화 예매권 등 다른 기념품으로 교환해 주고 있다. 교환 대상은 헌혈 마스코트인 ‘나눔이’ 그림이 있는 해피머니 상품권이다.
적십자사 관계자는 이날 한겨레에 “헌혈자가 이미 받아 사용한 상품권 등도 있어, 정확한 피해 금액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주 해피머니 쪽에 관련 내용증명을 보냈고, 현재 법적 조처를 검토중”이라고 밝혔다.앞서 해피머니 상품권 발행사인 해피머니아이엔씨는 7월26일 자사 누리집에 공지를 올려 “티몬 등 큐텐 계열로부터 미정산 금액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라며 “이로 인한 파장을 우려한 사용처의 사용 제한 요청으로 인해 상품권을 구매한 고객의 불편을 초래한 점 깊이 사과드린다. 티몬 미정산 상황과 별개로 7월25일 오후 6시14분부터 온라인 환불 접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티몬·위메프 여파 ‘휴짓조각’된 상품권…해피머니 ‘완전자본잠식’“해피머니 100만원 묶여있는데 어떡하죠? 다 막힌 건가요?” 티몬·위메프 등 큐텐 계열 이커머스에서 7% 이상의 높은 할인률로 판매했던 해피머니 등 현금성 상품권이 25일 ...
Read more »
사우디, 1700㎞ 가로지른 이스라엘 예멘공습 눈감았나(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유현민 특파원=이스라엘의 예멘 직접 공습의 '불똥'이 사우디아라비아로 튀었다.
Read more »
“연쇄도산 위기, 이를 어쩐다”…티몬·위메프에 발묶인 여행업계, 보상 막혔다카드사에서 결제 취소·불가 상품권 막히며 소비자 피해 구매한 상품권은 휴지조각 중소 여행사 도산설까지 7년 만기 채무도 이행 못해 사실상 정산 능력 없단 평가
Read more »
신생아 특례대출로 잡아볼까…분양중인 9억미만 아파트 ‘어디’올해 2월~5월 서울·경기서 9억 이하 아파트 거래 늘어 매매가도 1억 가까이 뛰어 ‘광명 롯데캐슬 시그니처’ 등 모두 9억 미만·중도금 무이자
Read more »
티몬·위메프 날벼락 맞은 여행업계 …'피해액 최소 1000억'정산지연 도미노 피해여행상품 환불 불가 이어백화점·홈쇼핑 판매도 멈춰카드 결제·취소 전부 막혀소비자들 기약 없이 발동동선불충전금·상품권 사용못해국민·SC제일銀 '불똥' 우려판매자에 先정산 대출 중단
Read more »
‘2자녀 200억’ 상속세 105억→72억…부의 대물림 ‘좋아 빠르게 가’25일 정부가 발표한 상속·증여세 개정안은 과세표준(과표)과 세율, 인적공제, 상속재산 평가산식 등 상속·증여세액을 결정하는 거의 모든 요인에 변화를 준 전면적 감세안이다. 특히 최고세율을 40%(과표 10억원 초과)로 조정한 것은 윤석열 정부 들어 단행된 어떤 감세보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