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2월 3일 심야에 기습적으로 선포한 비상계엄은 헌법과 법률이 정한 요건과 절차를 갖추지 못하여 명백한 위헌·위법이다” 헌법·행정법 학자 131명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본회의 표결이 임박한 7일, 마침내 법학자의 이름을 걸고 시국선언에
6일 저녁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내란범 윤석열 퇴진 시민 촛불’ 집회에서 한 시민이 손팻말로 촛불을 지키고 있다. 김영원 기자 [email protected]헌법·행정법 학자 131명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본회의 표결이 임박한 7일, 마침내 법학자의 이름을 걸고 시국선언에 나섰다. 계엄의 위헌·위법성, 그것이 미친 현실적 위기를 조목조목 명시하며 탄핵소추안 통과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들은 “국민의 힘이 당론으로 탄핵소추를 거부한다는 언론보도를 접하고 사발통문을 돌려 반나절 만에 성명을 준비했다”고 했다. 전·현직 법과대학,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들과 공법을 연구하는 연구자 131명이 연명했다.
법학자들이 시국선언에서 강조한 건 대통령 탄핵 소추의 시급성과 절박성이다. 법학자들은 “일단 탄핵소추를 통해 대통령의 권한을 정지시켜 또 다른 돌발행위의 위험을 차단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고 했다. 이어 “헌법연구와 강의를 통해 입헌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기를 염원해온 우리 헌법·행정법 연구자들의 뜻을 모아 절박하게 호소한다. 중대한 헌정위기를 초래한 윤석열 대통령을 탄핵소추하라”고 적으며 성명을 맺었다.우리 대한국민이 자랑하던 입헌민주주의가 바람 앞의 등불 같은 위기에 처했다. 무엇보다 헌법이 계엄이라는 비상조치를 통제할 최후의 보루로 설정한 국회에게 통고도 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국회의 기능을 마비시킬 목적으로 경찰을 동원하여 국회를 봉쇄하고 무장병력을 국회에 난입시켰다. 또 국회 활동을 방해하려는 포고령을 발포하고 실행에 옮겼다. 역시 계엄 대상이 아닌 중앙선관위를 점거하여 선거 관련 정보에 접근하려 시도하는 한편 심지어는 국회의장과 여야대표를 포함한 핵심 정치인을 반국가세력으로 몰아 구금하려 한 정황마저 드러나고 있다. 이는 모두 헌법과 법률이 허용하지 않는 위헌·위법의 불법행위이며, 나아가서 국헌문란과 폭동을 구성하여 내란죄의 혐의마저 야기하는 폭거이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난 몰랐다” “공범 아니다”…발 빼는 기습 계엄 핵심인물들李 “계엄은 고도의 통치행위” 계엄 옹호발언에 野 질타 조규홍 “계엄은 위헌” 답변뒤 “내가 판단 못해” 말바꾸기 경찰청장 “계엄사령관이 전화로 국회통제 요청해와”
Read more »
김용현 국방장관, 계엄 발동 의혹에 '계엄은 불가능하다' 반박김용현 국방장관은 인사청문회에서 계엄 발동을 건의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으나, 최근 계엄 선포를 건의해 논란이 일었다. 김 장관은 '계엄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으나, 즉흥적인 계엄 선포에 대한 의문이 지속되고 있다.
Read more »
코인 가격 급등, 기술 혁신 낳을 것마이클 케이시 DAIS 협회장돈 모이는 곳이 혁신의 마중물블록체인으로 분산 기술 필수특정기업 데이터 독점 막아야
Read more »
젤렌스키 '러 파병 북한군 10만명 될수도…러 석유 막아야'젤렌스키 '러 파병 북한군 10만명 될수도…러 석유 막아야' - 4
Read more »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로 내란죄 위기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였으나, 이는 국헌을 위반한 위헌 조치로, 내란죄로 처벌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Read more »
대전지역 시민단체, 이장우 시장 비상계엄 동조 태도 규탄대전지역 10여 개 시민사회단체는 이장우 대전시장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침묵하며 동조한 태도를 비판하고 나섰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