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사회에서 자신의 삶과 일에 만족을 느끼는 비율이 전보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10명 중 2명은 외로움을 느낀다고 답했는데, 나이들고 소득이 적을수록 사회적...
지난해 한국사회에서 자신의 삶과 일에 만족을 느끼는 비율이 전보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10명 중 2명은 외로움을 느낀다고 답했는데, 나이들고 소득이 적을수록 사회적 고립감이 더 컸다. 한국사회의 가장 큰 갈등 요인으로는 ‘보수와 진보’를 가장 많이 꼽았다. 출생율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지만 사교육 참여율과 사교육비 지출 규모는 전보다 증가했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 한국의 사회지표’를 보면 지난해 자신의 삶에 만족한다는 사람 비율은 74.1%로 1년 전보다 1.3%포인트 감소했다. 삶의 만족도는 대체로 소득수준에 비례해 월 소득 500만~600만원과 600만원 이상에서 가장 높았다. 2019년 이후 상승세를 타던 삶의 만족도는 지난해 하락세로 돌아섰다. 자신이 하는 일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도 전년 대비 4.2%포인트 떨어졌다. 19~29세, 40대, 30대 순으로 자신이 하는 일이 가치 있다고 생각했는데, 일의 가치에 대한 인식도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이었다.사회적으로 고립감을 느끼는 사람들 비중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었다. 지난해 ‘외롭다’고 느낀 국민은 전체 18.5%로 전년보다 소폭 감소하는데 그쳤다. ‘아무도 나를 잘 알지 못한다’고 느낀 비중은 16.5%로 전년보다 0.4%포인트 올랐다.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외롭다고 느끼는 비율과 아무도 나를 잘 알지 못한다고 느끼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대체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고립감을 느끼는 정도가 강했는데, 이례적으로 19~29세에서 외롭다고 느끼는 비율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30~50대를 앞섰다.
소득이 낮을수록 고립감이 컸다. 월 소득 100만원 미만이 외롭다고 느끼는 비율이 가장 컸는데, 월 소득 600만원 이상, 월 소득 500~600만원 미만의 3배에 가까운 수준이다.한편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1970년 통계작성 이래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같은 시기 출생아 수는 23만명으로 2012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거듭 감소하는 출생율에 학령인구도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사교육은 되레 활발해지고 있다. 지난해 사교육 참여율은 78.5%로 전년보다 0.2%포인트 올랐다.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3만4000원으로 전년보다 5.8% 증가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요즘 힘든데, 보유세 부담 크게 안늘어 다행”…아파트 공시가격 1.52% 소폭 상승국토부, 2024년 공동주택 공시가격 공개 수도권 오른 반면, 부산·대구·광주 하락 서울서도 강남3구 아파트 오르고 노·도·강 하락
Read more »
3월 FOMC 앞두고 커진 긴장감…외국인 순매도에 국내 증시 하락 마감 [이종화의 장보GO]FOMC 앞두고 美국채 금리 상승 외국인 순매도 이어져 코스피 하락 엔비디아 GTC 행사, “기대보다 실망” SK하이닉스 등 반도체株 하락 마감
Read more »
당진의 소중한 문화 '안섬당제'어민들의 삶의 터전인 바닷가에서 풍어를 비는 행사
Read more »
애플 죽 쑤자 … LG이노텍 21% 급락국내 관련주 올해 성적표애플 AI경쟁서 밀리며 부진카메라모듈 납품 LG이노텍올해 실적도 악화될 가능성덕우전자·LGD도 주가 하락
Read more »
희비 갈린 게임주 … 크래프톤만 웃었다신작 기대감에 올 14% 껑충엔씨·펄어비스는 20%대 하락
Read more »
“중요한 건 실적이야”…밸류업 열풍에 반짝 오른 ‘이 종목’ 고꾸라졌네DL이앤씨 한달새 14% 하락 수주대박 삼성엔지는 9% 쑥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