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장] 학생의 기본적 인권 보장은 한 나라의 성숙도 가늠하는 척도
안전이란 '각종 위험으로부터 오는 질환·상해·사망 및 재산상의 손실·손해를 방지 또는 극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넘어, '자연적·인적 위험 요인이 없거나, 이러한 위험 요인에 대해 충분한 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인간이라면 누구나 누려야 할 기본적 욕구이다. 어린이와 청소년 등 학생도 엄연히 한 인간이기에 예외가 될 수 없다.
그럼에도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어, '교육활동 중 발생한 안전사고' 외에 '사회적 재난과 자연재해' 등을 추가할 필요가 있고, '학교를 방문했다가 사고를 당한 외부인' 등도 학교안전사고 범위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 안전권은 모든 국민이 해당한다. 국민 중에 누가 더 안전해야 한다는 기준을 정할 수는 없지만, 학생의 안전도 매우 중요하고, 특히 사고 발생 시, 구조 순위를 정하다면, 사회적 약자 다음으로 보호해야 할 대상이 학생이다. 따라서 학생의 안전권은 물론이고 학교의 안전권 또한 보장해야 할 것이다. 학교안전권에 대한 법적 근거는 우선 「교육기본법」과 「초・중등교육법」에서 찾을 수 있다. 「교육기본법」은 교육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율한 법으로, 학습권, 교육의 자주성 등을 통해 안전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용인시 30년 만에 학교 3배, 학생 2.7배 늘었다여전한 학교 부족 호소... 통학길 안전 우려도
Read more »
“문제는 장애학생이 아니에요”···교사들이 말하는 통합교육[‘장애’를 지우는 교실]한 교실에서 장애·비장애 학생들을 함께 가르쳐본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통합교육을 실현하기 어려운 이유가 장애 학생 개인에게 있다기보다는 학교 환경과 제도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Read more »
상반된 '초등학교' 만족도... 학부모는 '최상', 교사는 '최하'초중고 학교 급 가운데 초등교사가 왜 더 심한가? 연구진 "초등교사 지원 시급"
Read more »
실명 밝힌 충남지역 교사 860명, 학생인권조례 폐지 규탄 서명충남 교사 및 학교 노동자들, 국힘 도의원 정면 비판... 대법원에 탄원서 제출 예정
Read more »
윤석열식 법치주의, 사용자의 '도둑질'에는 관대[소셜 코리아] 임금체불 역대 최대...근로기준법 제109조 개정해 처벌 강화해야
Read more »
학교 부실급식 왜 생기나 했더니... 결원 탓학비노조, 16일 급식노동자 처우 개선 요구 기자회견 열어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