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2차 세계대전 후 자본주의의 황금기에 가사노동자는 선진 복지국가에서 거의 사라졌다.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가난한 여성이 공장 노동 등의 대안을 찾거나 전업주부로 살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왜 21세기에
외국인 가사관리사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필리핀 가사관리사들이 지난달 6일 아침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을 통해 입국한 뒤 버스로 이동하고 있다. 백소아 기자 [email protected]차 세계대전 후 자본주의의 황금기에 가사노동자는 선진 복지국가에서 거의 사라졌다.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가난한 여성이 공장 노동 등의 대안을 찾거나 전업주부로 살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왜 21세기에 들어 가사노동자가 다시 증가한 것일까?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못 미치는 남성의 가사노동 분담, 복지국가에 대한 공격과 민영화 등이 선진국의 유인 요인이었다면, 전세계적인 금융위기들로 극심한 긴축과 공공지출 감소를 겪으며 빈곤 노동자를 양산한 것이 저개발국의 배출 요인이었다.
미국의 사회학자 혹실드는 저개발국에서 금, 상아, 고무 등을 빼앗았던 19세기 제국주의가 이제는 돌봄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자원을 착취하는 변화에 주목했다. 경력 개발을 원하는 적극적인 선진국 여성과 유급 일자리를 찾던 저개발국의 진취적인 여성이 성평등이라는 공통의 목표를 가진 자매로서가 아니라 사용자와 노동자, 주인과 하녀로 글로벌 돌봄 체인에서 만나게 된 것이다.튀르키예에서 필리핀 보모는 신분 상승을 추구하는 중산층의 지위 상징이다. 이들 가구는 교육 수준이 낮고 덜 문명화되었다고 여기는 자국의 농촌 출신 여성보다 외국인 가사노동자를 더 선호한다. 물론 이 위계의 최상층은 영국인 보모가 차지하지만, 취학 전 영어교육에 대한 열망을 반영하여 최근 필리핀 보모의 취업도 급격히 늘고 있다. 완벽하게 영어를 구사하는 것은 튀르키예어로 자신의 역사와 문학을 이해하는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한 엘리트 교육의 핵심이다. 필리핀 보모는 이제 특권을 유지하기 위한 가치 있는 소비로 여겨진다.
스웨덴의 ‘가정부 논쟁’은 공공 돌봄서비스와 성평등한 휴직제도가 있는 복지국가가 과잉 육아에 기반한 부모의 선택할 자유라는 신자유주의적 현상과 충돌하면서 발생했다. 가사노동자 사용에 대한 세제혜택이 결국 특정 계급을 위한 제도이며 성 불평등을 악화시킬 것이란 사회민주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2007년 중도우파 정부는 이 제도를 강행했다. 가사노동자는 이제 중간계급 가정의 젠더 갈등을 가장 싸게 해소할 수 있는 전략으로 부상했다. 남편의 참여를 요구하다 지친 스웨덴의 맞벌이 부인은 평화를 얻었지만, 남편은 할 수 있던 가사로부터 더 멀어지며 성평등은 이제 경제적으로 여유 있는 계급에만 허락된 일종의 특권으로 축소되었다.글로벌 돌봄 체인의 주된 희생자는 송출국에 남겨진 외국인 보모의 어린 자녀이다. 하지만 수신국의 아이는 과연 승자일까? 스웨덴의 ‘오페어’ 외국인 보모는 장기간 근무가 불가능하다.
또한 이런 세제 혜택도 본래의 의도와 달리 불법체류 가사노동자를 전혀 줄이지 못했다. 외국인 가사노동자 보호를 위해 덴마크 노동조합이 고용주 가정에 여행 비용과 보험 제공 등 의무를 강화하였을 때도 비싼 비용을 피하고자 상당수 외국인 가사노동자에 대한 수요가 비공식 시장으로 몰렸다. 비공식 시장에서의 오페어는 보호받지 못한다. 유튜브에는 어린 두 자녀와 ‘올바른’ 노동윤리를 가진 고학력 여성임을 홍보하며 초저임금과 학대 등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해외의 가사 일자리를 찾는 여성들이 넘쳐난다. 젠더와 인종, 계급의 소용돌이 속에서 불평등이 증폭되는 비극적인 상황이다. 필리핀 가사관리사에게 최저임금에 못 미치는 임금을 줄 자유, 아무 일이나 시킬 자유를 달라 지치지도 않고 주야장천 외치는 정치가와 그 주변에 말하고 싶다. 다른 나라가 한다고, 제발 모두 따라 하지는 말자. 판도라의 상자가 완전히 열리기 전에, 이 일은 시작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서울시는 발뺌하고, 노동부는 떠넘기고, 언론은 '이모님'이라고[박정훈이 박정훈에게] 서울시가 도입한 '필리핀 가사관리사' 제도의 문제점
Read more »
필리핀 가사관리사 2명, 숙소에서 이탈해 연락 두절서울시 ‘외국인 가사관리사 시범사업’에 참여 중인 필리핀 가사관리사 100명 중 2명이 숙소에서 이탈해 연락이 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필...
Read more »
내가 치러낸 여름 이야기 [똑똑! 한국사회]유지민 | 서울 문정고 2학년 매년 이례적인 폭염이 기록되는 여름이 찾아온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모두가 예민해지지만, 휠체어를 타는 이들에게는 더욱 살아남기 어려운 계절이다. 바로 여름에만 생기는 제 ‘앞가림’에 대한 문제들이 있기 때문이다. ‘제 앞에 닥친 일을 제
Read more »
성착취물…아득함과의 전쟁 [똑똑! 한국사회]방혜린 | 군인권센터 국방감시팀장 석사 논문을 쓰기 전 디지털성폭력 지원기관에서 계약직으로 잠시 일한 적이 있다. 나의 일은 나에게 할당된 불법촬영물을 일일이 검색한 뒤, 게시물이 발견되면 이를 삭제해달라고 사이트 운영자에게 ‘읍소’하는 것이었다. 불법촬영물의 검색과
Read more »
노년의 자기결정권과 돌봄통합법 [똑똑! 한국사회]조기현 | 작가 당사자도, 보호자도 모두 지친 후에야 결정이 난다. 요양원 입소 말이다. 부모돌봄을 주제로 많은 이야기를 나눴지만 요양원 입소를 두고 ‘원만한 합의’를 이뤘다는 이야기는 들어본 적이 없다. 노쇠해진 부모님은 살던 곳에서 쭉 살고 싶어 한다.
Read more »
히어로입니다만 [똑똑! 한국사회]양창모 | 강원도의 왕진의사 “선생님! 여기 좀 와보세요. 빨리요!” 나보다 먼저 집으로 들어갔던 최 간호사님이 다급히 부른다. 허겁지겁 달려갔다. 화장실 구석에 박 할아버지가 주저앉아 있다. ‘악’ 소리 한번 지르지도 못한 채 한 손으로 겨우 문지방을 잡고 구석에 머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