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에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촉구하며 높은 세금, 관세, 제재 부과 가능성을 암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러시아 국민과 푸틴 대통령에 대한 호의를 표명했지만, 2차 세계 대전 이후 러시아의 전쟁 참여 등을 언급하며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러시아에 대한 압박을 강화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2일 러시아를 향해 “곧 전쟁을 멈추지 않으면 러시아가 미국 및 여러 참여국에 판매하는 모든 상품에 높은 세금, 관세, 제재를 부과할 수밖에 없다”고 압박했다.에 올린 글에서 “내가 대통령이었다면 시작되지도 않았을 전쟁을 빨리 끝내자”라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우리는 쉬운 방법으로 할 수 있고, 아니면 어려운 방법으로도 할 수 있지만 쉬운 길이 더 낫다”라며 “이제는 협상할 시간이다. 더는 생명을 잃는 일은 없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나는 러시아 국민을 사랑하고 푸틴 대통령과는 항상 매우 좋은 관계를 유지해왔다. 나는 러시아를 해롭게 하려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2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하도록 러시아가 도왔고, 그 과정에서 약 6000만명의 목숨을 잃었다는 사실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
지난해 대선 당시 ‘임기 첫날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겠다’고 여러 차례 공언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20일 취임 첫날부터 연일 러시아를 공개 압박하고 있다. 취임 당일 푸틴 대통령을 향해 “협상해야 한다. 그는 협상하지 않음으로써 러시아를 파괴하고 있다. 러시아의 경제, 인플레이션을 보라”라고 말하며 관세로 러시아를 압박할 수 있다는 취지로 말했다. 취임 이튿날인 전날에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협상에 나오지 않을 경우 추가 제재를 할 수 있다고 밝혔다.러시아는 트럼프 대통령이 구상하는 협상이 어떤 내용인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유엔 주재 러시아 대표부의 드미트리 폴랸스키 차석대사는 로이터통신에 “단순히 전쟁을 끝내는 문제가 아니다. 우크라이나 위기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는 게 가장 중요한 문제다”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생각하는 협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봐야 한다.
TRUMP RUSSIA WAR UKRAINE DIPLOMACY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젤렌스키, 트럼프 칭송 카드 꺼내 전쟁 종식 전략우크라이나 대통령 젤렌스키는 전쟁 종식을 위해 트럼프 당선인을 향한 칭송 카드를 꺼내 논란을 빚고 있다.
Read more »
노벨상 존슨 '관세로 동맹 방위비 압박, 이게 트럼프 독트린' [트럼프 어게인②]존슨 교수는 12일(현지시간)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의 정책은 근본적으로 미국이 동맹과 전 세계 경제·안보의 구심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며 이같이 평가했다. 그는 '트럼프는 이미 경제와 안보를 패키지로 보고 있다'며 '트럼프 전략의 목표는 미국의 경제와 안보 분야에서의 역할을 현실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재정립하는 쪽에 맞춰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Read more »
트럼프,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합의에 공을 강조 '내 승리로 가능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전쟁 중단 및 인질 맞교환에 합의한 데 대해 자신의 공을 강조하며 이는 자신의 대선 승리로 가능했다고 주장했다.
Read more »
美, 트럼프 취임 앞두고 러 석유업체·비밀 유조선 대규모 제재(종합)(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미국 정부는 10일(현지시간) 러시아 주요 석유 업체를 비롯해 개인·단체 200곳 이상과 러시아산 석유를 ...
Read more »
제2기 트럼프 행정부 인도태평양 전략, 경제-안보 공세로 중국 압박제2기 트럼프 행정부의 인도-태평양 전략은 경제-안보 이중 구조에 입각하여 중국의 영향력 확장을 원천 차단하는 공세적인 접근으로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Read more »
미국 국채 금리, 트럼프 취임 압박 속 18년 만 최고 수준트럼프 취임 임박, 미국 국채 금리 상승세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