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지원과 관련하여 찬성과 반대로 양분된 공화당 유권자들이나 이스라엘 지원과 관련하여 가자지구 휴전을 촉구하는 민주당의 소수 인종 및 청년층 유권자들이 이번 대선에서 외교 정책의 미국정치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 트럼프가 지지 집회나 인터뷰 등을 통해 강조한 사안들로는 수입품에 대한 일괄 관세 부과와 60% 규모의 대중국 관세 정책,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에 대한 방위비 분담금 압박, 우크라이나 휴전 협상 추진, 연방 관료제의 자기 중심적 재편, 강경한 이민 정책, 전기차 보조금 폐지를 비롯한 인플레이션 감축법 폐기 등이 있다.
전문가 기고 - 미 대선 대외 정책 이슈 통상적으로 미국 대선 에서 대외 정책 이 차지하는 비중은 생각보다 크지 않다. 국제 문제가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투표 이슈가 되기 위해서는 해당 이슈가 누구나 이해 가능한 매우 중요한 것이어야 한다. 또한 공화당과 민주당 두 대선 후보 간에 분명한 입장 차이를 보여야 한다. 한국 전쟁과 매카시즘 와중에 치러졌던 1952년 대선, 미국의 위상 추락이 큰 문제였던 1980년 대선, 9.11 테러 이후 강경한 안보 논리가 득세했던 2004년 대선 정도가 예외에 속한다.국제 이슈가 미국 선거에서 쟁점으로 등장하게 되는 경우는 소위 미국정치화 과정을 꼽을 수 있다. 대외 관계가 국제 수준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미국 내의 이념, 경제, 제도, 문화 등에 연결되어 미국 국민들 사이에 이해 관계가 만들어지는 것을 가리킨다. 예컨대 1차 대전 이후의 윌슨 대통령이 추진했던 다자주의 리더십은 미국정치화 결여로 인해 실패한 사례였다.
관련기사 역시 우리의 관심사는 만일 트럼프가 당선되는 경우 급격하게 달라질 미국 외교 정책 입장들이다. 상대적으로 공약을 잘 지켰던 트럼프 1기 행정부의 전례를 떠올려 볼 때 우선 트럼프가 유세 기간 중 쏟아내는 자신의 관심사들을 눈여겨 살펴보아야 한다. 현재까지 트럼프가 지지 집회나 인터뷰 등을 통해 강조한 사안들로는 수입품에 대한 일괄 관세 부과와 60% 규모의 대중국 관세 정책, 북대서양조약기구에 대한 방위비 분담금 압박, 우크라이나 휴전 협상 추진, 연방 관료제의 자기 중심적 재편, 강경한 이민 정책, 전기차 보조금 폐지를 비롯한 인플레이션 감축법 폐기 등이 있다. 선거에 승리한다면 취임 첫 해의 주된 의제는 중국과의 통상, 이민 정책 변화, 연방 정부 개혁 등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 모두 행정 명령에 의존하는 방식이 될 전망이다. 이는 입법을 통한 미국 정치의 개혁 방식과는 거리가 멀지만 4년이라는 주어진 시간 동안 지지층 중심의 정치에만 몰두할 트럼프 셈법이기도 하다.
사실 트럼프라는 정치인 특유의 예측불가능성은 단기적 전망을 불가능 혹은 불필요하게 만든다. 오히려 미국 정치와 외교의 역사적 맥락 가운데 트럼프를 위치시키고 긴 호흡과 큰 변화에 대해 분석해 보는 편이 낫다. 무엇보다 극심한 양극화 시대에 지지층 위주의 반쪽 짜리 정치와 외교를 일삼는 트럼프 정책들이 미국 변화를 온전히 대표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주로 적극 투표층이 주도하는 후보 경선 시기에 막강한 권세를 과시하는 트럼프로 인한 착시 현상을 경계해야 하는 이유다. 간단히 말해 트럼프는 미국 공화당을 변모시켰다기 보다는 복원하였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전후 세계 질서 구축 과정에서 공화당 안에는 비개입주의, 일방주의, 보수적 국제주의라는 세 갈래 그룹의 대응이 생겨났다. 레이건 대통령이 이끈 냉전 승리가 확인되면서 비로소 동맹 중심과 자유무역을 상징되는 보수적 국제주의가 공화당의 통합된 입장이 되었다.
즉, 완전히 고립주의도 아니고 완전히 개입주의도 아닌 하이브리드 외교 정책 정당이 현재의 공화당이다. 실제로 공화당 의원들의 최근 의회 표결은 복잡한 당내 사정을 그대로 보여준다. 지난 2월의 우크라이나 지원 법안에 대해 공화당 상원 의원들 중 22명이 찬성, 27명이 반대하였다. 4월의 우크라이나 지원 법안에 대해서는 하원 공화당 의원들 101명이 지지하였고 112명이 거부하였다. 바이든 대통령 시기에 완전히 양분된 입장을 보이는 공화당 내부 사정이 만일 트럼프가 백악관으로 돌아오는 경우 어떤 단합된 변화를 선택할 것인가가 최대 관건이다. 트럼프 측근이나 1기 행정부 각료들, 그리고 공화당 의원들이 최근 들어 입이라도 맞춘 것처럼 한반도 내 북한 핵위협에 대해 의견을 쏟아내고 있는 것 역시 미국 내 공화당과 보수 진영 내의 다양한 시각들 중 일부다. 한국의 자체 핵무장이나 전술핵 재배치, 주한미군 축소 가능성 등 우리로서는 중대한 미국의 입장 변화에 관한 주장들임에 틀림 없다.
인플레 대외 정책 대선 후보 미국 대선 외교 정책 미국정치화 바이든 미국 대선 판세 중간점검 미 대선 대외 정책 이슈 FOCUS SUNDAY 포커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트럼프의 도박?...“주한미군 철수 걸고 김정은과 협상 가능성 있어”WP “트럼프, 방위비 분담금 집착” 中, 한미일 3국 공조 균열 열망”
Read more »
“이 남자 당선땐 여성인권 박탈”…대선 앞두고 경고나선 힐러리힐러리, 트럼프 후보 당선 경종 울려 “여성·동성애자 등 소수계층은 물론 민주주의 핵심 교리마저 겨냥할 것”
Read more »
'물가 2% 고지 보인다'… 주요국 금리인하 자신감 커져8개국 연내 금리인하 유력10대 통화국 인플레 2% 근접1월 2.9% 기록후 안정 추세일부 실물지표는 침체 신호도美 조기 인하 주장도 나와'고금리 유지 땐 글로벌 침체더 빠르고 큰 폭의 인하 필요'
Read more »
“스위치만 켜면 된다”…북한이 가장 두려워하는 ‘이것’ 일발장전9·19합의 전체 효력 정지 작년말 北서 먼저 합의 폐기 무력도발 수위 계속 높여와 정부, 9 19 유명무실화 판단 ‘강력한 非물리적 압박 수단’ 확성기 즉시 작동가능 상태로
Read more »
“한미방위조약보다 더 강하다”…북·러, 냉전시대 동맹 28년만에 부활위협적인 북·러 협정문 1996년 폐기 ‘조소 조약’에 군사개입 정당화 근거 더해 러·독립국가연합 조약 때 쓴 ‘지체없이 軍원조’ 문구 인용 동해상 연합훈련 가능성도
Read more »
북·러, 냉전시대 군사동맹으로 복원 '전시개입' 문구 한미조약보다 강해위협적인 북·러 협정문1996년 폐기 '조소 조약'에군사개입 정당화 근거 더해러·독립국가연합 조약 때 쓴'지체없이 軍원조' 문구 인용동해상 연합훈련 가능성도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