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네이버, 쇼핑 플랫폼 시장 독주…정부 감시 필요

경제 News

쿠팡·네이버, 쇼핑 플랫폼 시장 독주…정부 감시 필요
쇼핑 플랫폼쿠팡네이버
  • 📰 hanitweet
  • ⏱ Reading Time:
  • 39 sec. here
  • 8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40%
  • Publisher: 53%

쿠팡·네이버의 쇼핑 플랫폼 시장 점유율이 증가하면서 공정거래위원회의 주의를 받고 있습니다. 두 기업의 독점적인 시장 지배는 소비자 혜택 감소 우려를 높이고 있습니다.

국내 쇼핑 플랫폼 시장에서 쿠팡· 네이버 의 쏠림 현상이 심화하면서 정부의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두 기업이 시장을 장악하면 경쟁이 줄면서 소비자 혜택이 감소할 우려가 크다. 공정거래위원회 는 26일 펴낸 ‘이커머스 시장연구’ 정책보고서에서 “쇼핑 분야 이커머스 시장은 네이버 , 쿠팡 등 상위 이커머스를 중심으로 시장 집중 도가 높아지는 양상을 보인다”고 밝혔다. 최근 온라인 쇼핑 시장은 ‘빠른 배송’, ‘구독형 멤버십’ 등 차별화 서비스가 등장하며 급격한 변화에 직면했다. 이에 공정위가 40개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한 뒤 최근 시장 변화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다. 공정위 분석 결과, 최근 6년간 쿠팡· 네이버 의 2강 체제가 굳어지고 있었다. 쿠팡· 네이버 의 월평균 순결제금액은 2018년 2조∼2조5천억원에서 2024년 8조∼9조원으로, 4배 이상 뛰었다. 반면, 옥션·11번가 등 하위그룹 순결제금액은 2018년 수준에 머물거나 오히려 감소했다.

또한 소비자들은 저렴한 가격을 찾아 다른 플랫폼으로 이동하기보다는 주로 쿠팡과 네이버에 머무는 경향이 짙었다. 공정위는 주로 이용하는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10만원 이하 상품이 다른 플랫폼과 비교해 5% 더 비쌀 때 어떤 경쟁 플랫폼을 선택하겠냐고 물었다. 그 결과 쿠팡 주 이용자의 77.4%가 네이버를, 네이버 주 이용자들의 71.4%가 쿠팡을 대안으로 선택했다. 2순위 선택지로 응답한 지(G)마켓과의 격차는 30∼40%포인트에 달했다.두 회사는 플랫폼 시장의 특징인 ‘네트워크 효과’를 통해 시장을 선점한 뒤 점유율을 빠르게 끌어올린 모습이다. 네트워크 효과는 플랫폼이 중개하는 두 서비스(소비자-입점업체)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이용자 수가 증폭되는 현상을 말한다. 네이버는 검색 포털 서비스, 쿠팡은 빠른배송을 무기로 초기에 소비자를 끌어모았다. 최근에는 배달·웹툰·영상 등 물류·콘텐츠 부문 혜택까지 묶어 제공하는 구독형 멤버십을 출시해 굳히기에 돌입한 모습이다.공정위는 무신사(패션)·컬리(신선식품) 등 특정 품목을 취급하는 전문몰의 성장과 알리·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의 약진도 현시점에서는 쿠팡·네이버의 독주 체제를 흔들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평가했다. 소수 기업이 온라인 시장을 장악하게 되면 독과점 남용 행위가 발생할 우려가 커진다. 공정위는 ‘최혜대우조항’을 대표 사례로 꼽았다. 자사 플랫폼 입점업체가 다른 경쟁 플랫폼에서 더 낮은 가격으로 제품을 판매하지 못하도록 강제하는 조항이다. 가격 인하 경쟁 유인을 낮춰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는 부작용을 초래한다.

We have summarized this news so that you can read it quickly.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news, you can read the full text here. Read more:

hanitweet /  🏆 12. in KR

쇼핑 플랫폼 쿠팡 네이버 시장 집중 독점 공정거래위원회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네이버, 사우디에 꽂힌 채선주 대표 - 'IT 기술 + 중동 수출' 신화 창조네이버, 사우디에 꽂힌 채선주 대표 - 'IT 기술 + 중동 수출' 신화 창조네이버 대외·ESG 정책 대표 채선주를 중심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시장 진출 성공 사례를 다루고 있습니다.
Read more »

4.1조원 줄어든 감액 예산안...“탄핵 빨리 결정해야 추경 가능”4.1조원 줄어든 감액 예산안...“탄핵 빨리 결정해야 추경 가능”“추경으로 보완 필요”...“시장 예측가능성 떨어져” 우려도
Read more »

배달 플랫폼 상생안, 탄핵 국면에 방향 잃어 혼란 가중배달 플랫폼 상생안, 탄핵 국면에 방향 잃어 혼란 가중배달 플랫폼 노조 의견 반영, 정부 주도 상생안 이행 방식 검토
Read more »

[스마트 산업강국 함께하는 제조혁신 2.0] 대기업이 中企혁신 도와야 … 세제혜택·행정 간소화도 절실[스마트 산업강국 함께하는 제조혁신 2.0] 대기업이 中企혁신 도와야 … 세제혜택·행정 간소화도 절실매경·삼성 공동 캠페인국회·정부·학계 자문단 인터뷰삼성,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상생형 연구개발 플랫폼 등대·중기 협력모델 확산해야
Read more »

온라인 쇼핑 시장 확장에 따른 소비자 분쟁 증가, 해외 쇼핑몰의 미흡한 소비자 보호 조치온라인 쇼핑 시장 확장에 따른 소비자 분쟁 증가, 해외 쇼핑몰의 미흡한 소비자 보호 조치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온라인 쇼핑 수요 증가와 더불어 증가한 소비자 분쟁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외 플랫폼 사업자의 소비자 보호 이행 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에서는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해외 쇼핑몰의 보호 조치 미흡이 확인되었다.
Read more »

OTT 업계, 협업으로 시장 경쟁 가열 - 네이버, 티빙, 애플TV 플러스 협업 발표OTT 업계, 협업으로 시장 경쟁 가열 - 네이버, 티빙, 애플TV 플러스 협업 발표네이버, 티빙, 애플TV 플러스가 협업으로 구독자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12월부터 시작되는 이 협업은 네이버와 넷플릭스를 견제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되며, 티빙 프리미엄 가입자들은 애플TV 플러스의 고화질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됩니다.
Read more »



Render Time: 2025-02-24 09: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