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거문오름 삼나무 10만그루 제거에 나선 이유는?

거문 News

제주도, 거문오름 삼나무 10만그루 제거에 나선 이유는?
제거제주나무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44 sec. here
  • 1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56%
  • Publisher: 51%

제주세계자연유산인 거문오름 내 삼나무가 모두 벌목된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오는 2029년까지 6년에 걸쳐 총 42억원을 투입해 거문오름 내 삼나무 10만 그루 전량을 단계...

제주도 가 식생 회복을 위해 거문오름 삼나무 림 제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제주도 제공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는 오는 2029년까지 6년에 걸쳐 총 42억원을 투입해 거문오름 삼나무 10만 그루 전량을 단계적으로 간벌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국가유산인 천연기념물이기도 한 거문오름 은 총면적 210.9㏊ 중 약 30%인 60.15㏊가 삼나무 인공조림지다.

제주도는 간벌 계획에 따라 올해 우선적으로 2억원을 들여 7.06㏊에 있는 삼나무 7300여 그루를 이달 중순부터 솎아내기 시작했다. 올해 대상 구역은 탐방로 주변 구간이다. 삼나무 50% 간벌을 통해 햇빛이 자연스럽게 들어오면 제주 고유 식생이 자연적으로 형성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상부 조망권 개선을 위해 일부 구간은 70%까지 벌목률을 높일 예정이다.제주도는 거문오름 내 삼나무림을 벌목하는 것은 1970~80년대 인위적으로 조성된 삼나무림을 제거해 자생 식물 군락의 회복을 돕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제주도 관계자는 “당시 제주에서는 조림사업 또는 감귤 방풍림용으로 삼나무를 많이 심었다”면서 “전문가들 역시 삼나무림이 제주 고유의 생태계를 교란하고, 알레르기와 같은 환경성 질환의 요인이 되고 있어 거문오름 내 삼나무림 제거를 주문해왔다”고 설명했다.앞서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2016년 거문오름 외사면 12.5ha 구간의 삼나무 50%를 간벌했다. 이후 5년간 모니터링한 결과 간벌지의 생물다양성이 크게 향상되고 천연림과 유사한 생태구조로 변모하는 등 자연 식생으로의 회복세가 뚜렷하게 확인됐다.제주도 관계자는 “세계자연보전연맹도 거문오름의 인공림 비율이 높다며 고유식생 복원과 생물종 다양성 제고를 권고한 바 있다”면서 “IUCN 권고 이행과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해 이번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 선흘리 거문오름에서 분출된 용암류가 지형적인 경사면을 따라 약 14㎞ 떨어진 해안까지 흘러가면서 만장굴 등을 포함한 거문오름용암동굴계를 만들었다. 이 거문오름용암동굴계와 한라산천연보호구역과 성산일출봉은 2007년 국내 최초로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이라는 이름으로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됐다.

We have summarized this news so that you can read it quickly.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news, you can read the full text here. Read more:

kyunghyang /  🏆 14. in KR

제거 제주 나무 제주도 거문오름 삼나무 간벌 벌목 세계유산본부 알레르기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이재명 연금 절충안, 미래세대 부담만 키워”…전문가들 반대 나선 이유는“이재명 연금 절충안, 미래세대 부담만 키워”…전문가들 반대 나선 이유는더불어민주당이 21대 국회 임기 종료전 본회의 통과를 요구했던 국민연금 개혁 절충안이 미래세대의 부담을 더욱 키운다는 민간 전문가들 주장이 나왔다. 연금기금의 재정부담을 완화시키고 세대간 형평성을 도모해 지속가능한 국민연금을 만든다는 개혁 취지와 어긋난다는 것이다. 이들은 소득대체율(받는 돈)은 그대로 둔 채, 보험료율(내는 돈)만 인상하는 것이 ‘제대로
Read more »

우드사이드 2천억원 쓰고 떠난 동해…18억원 용역 믿고 5천억원 붓나우드사이드 2천억원 쓰고 떠난 동해…18억원 용역 믿고 5천억원 붓나14년간 석유공사와 총 3500억원 투입…우드사이드·액트지오 분석 다른 이유는 ‘데이터’인가 ‘이해관계’인가
Read more »

[단독] 여행 조회부터 예약도 척척...농협판 ‘야놀자’ 뜬다[단독] 여행 조회부터 예약도 척척...농협판 ‘야놀자’ 뜬다슈퍼앱 경쟁에 차별화 나선 농협銀 디지털뱅킹 앱에 여행 서비스 탑재 앱에서 여행 조회하고 예약까지
Read more »

세종보 수달의 흔적이 던진 물음세종보 수달의 흔적이 던진 물음[현장] 세종보 담수 앞두고, 한국수달네트워크가 금강 모니터링에 나선 이유
Read more »

글이 집이 되는 마법... 최상일씨는 오늘도 쓴다글이 집이 되는 마법... 최상일씨는 오늘도 쓴다글 써서 남주는 사람, 제천의 집 없는 청년농부 돕기 나선 이유
Read more »

[김학균의 쓰고 달콤한 경제]미국식 자본주의, 버블은 필요악[김학균의 쓰고 달콤한 경제]미국식 자본주의, 버블은 필요악미국에서 혁신기업들이 많이 배출되는 이유는 미국 금융시장의 역동성과 무관하지 않다. 금융업의 본질적 기능은 실물경제에 자금을 공급하는 역할인데, 독일과 일본은 은행시스템을 주...
Read more »



Render Time: 2025-02-25 04:5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