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전남 무안공항에서 제주항공 여객기가 착륙 중 공항 외벽과 충돌해 화재에 휩싸인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정확한 사고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버드 스트라이크로 인한 엔진 고장과 랜딩기어 작동 이상이 의심됩니다. 조류 충돌 위험을 인지한 후 관제탑과 기장의 대처가 적절했는지, 다른 제어 기구 작동 여부 등이 추가 조사 대상입니다.
제주항공 여객기가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 착륙하던 중 공항 외벽과 충돌해 화염에 휩싸여 있다. 사고 현장에 투입된 소방대원과 군인들이 희생자 및 실종자 수색 작업을 하고 있다. 무안 | 문재원 기자 [email protected]·연합뉴스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29일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는 착륙 전 랜딩기어 가 정상적으로 내려오지 않은 것이 발단이 됐다. 정확한 사고 원인을 규명하는 데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일단 비행기와 새 떼가 충돌하면서 랜딩기어 가 작동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추정이 나온다.
다만 조류와 충돌했더라도 다른 제동장치가 작동하지 않은 점에는 의문이 제기된다. 조류 충돌 위험을 인지한 후 공항 관제탑과 기장의 대처가 적절했는지도 향후 교신 기록 등으로 따져봐야 한다.조종사는 2분 뒤인 8시59분 “메이데이”를 선언했다. 이후 조종사는 바퀴 대신 항공기 기체로 착륙하는 동체착륙을 시도했다. 하지만 속도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았고, 활주로 끝단 구조물을 정면으로 들이받으면서 사고가 났다.목격자들은 착륙 직전 사고 여객기의 오른쪽 엔진 끝부분에서 불꽃이 튀었다고 증언했다. ‘새가 날개에 끼여’ 착륙하지 못하고 복행을 하려고 했다는 탑승객의 카카오톡 메시지도 나왔다.
정부는 신중한 입장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착륙 전 버드 스트라이크가 있던 것은 사실이지만 버드 스트라이크와 랜딩기어 고장의 관계는 사고 조사를 정확히 해봐야 알 수 있다”고 말했다.안영태 극동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한쪽 엔진에 버드 스트라이크가 일어나도 수동으로 기어를 내릴 수 있는 백업 시스템이 갖춰져 있다”며 “그럼에도 랜딩기어가 내려지지 않은 것이 기장의 실수인지, 기체의 또 다른 결함 때문인지는 비행데이터기록장치 등을 봐야 정확히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조종사와 관제탑의 대처가 이례적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버드 스트라이크 위험이 있을 경우 조종사는 높은 고도로 복행해 문제 상황을 해결한 뒤, 원래 활주로로 다시 착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국토부 발표에 따르면, 관제탑은 당초 예정된 활주로의 다른 방향으로 착륙하라는 허가를 내줬다. 조종사가 이를 수용해 착륙을 하기까지 시간은 6분 정도에 불과했다.일각에서는 무안공항의 짧은 활주로 때문에 동체착륙이 어려웠다는 주장을 내놓기도 했다. 국토부는 “짧은 활주로가 사고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무안공항의 활주로 길이는 약 2.8㎞로 인천공항, 김포공항 등과 비교해 800~900m 짧긴 하지만, 이전에도 이번 사고 여객기 크기의 C급 항공기들이 계속 운항해왔다는 것이다.
정윤식 가톨릭관동대학교 항공운항학과 교수 역시 “사고 영상에 따르면 여객기는 활주로의 끝이 아닌 중간 지점부터 접지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로 인해 활주로가 짧아 보이는 것뿐 정상 착륙하기에는 충분한 거리”라고 말했다.
제주항공 무안공항 사고 버드 스트라이크 랜딩기어 동체착륙 조류 관제탑 기장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무안공항 여객기 사고, 버드 스트라이크 충돌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 중 활주로 끝단 구조물과 충돌한 여객기 사고, 버드 스트라이크 가능성으로 분석. 조류 충돌으로 엔진 화재 및 랜딩기어 고장, 동체 착륙 시도, 활주로 길이 부족으로 사고 발생.
Read more »
무안 여객기 사고, 버드 스트라이크 후 랜딩기어 접은 채 착륙무안국제공항에서 제주항공 여객기가 착륙 직전 조류 충돌 경고를 받은 후, 약 4분 만에 활주로 외벽에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국토부는 기장이 메이데이 신호를 보낸 후 랜딩기어가 접은 채 착륙했다고 밝혔습니다. 사고기장은 6천96시간의 운항 경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Read more »
‘버드 스트라이크’가 사고 원인?···다른 제어장치는 왜 작동 안 했을까전남 무안공항에서 29일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는 착륙 전 랜딩기어(바퀴)가 정상적으로 내려오지 않으면서 발생했다. 정확한 사고 원인...
Read more »
30여년 전 아시아나 여객기 사고 재조명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로 인명피해 발생, 1993년 해남 아시아나 여객기 사고와 비교 분석
Read more »
무안 여객기 사고 목격자 '날개서 불꽃, 큰 소리' 기록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목격자는 착륙 전 날개에서 불꽃을 발견하고 큰 폭발음을 들었다고 전했다.
Read more »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연료 버리지 않은 점 의문 제기전남 무안공항에서 제주항공 여객기가 착륙중 추락 사고 발생, 174명 사망. 전문가들은 활주로에 충격 완화를 위한 특수거품 '폼'이 뿌려지지 않았고 동체 착륙 전 연료를 버리지 않았다는 점이 의문으로 제기되고 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