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지방소멸' 망령 비판, 진정한 지역재생의 길 제시, 박진도의 〈강요된 소멸〉
수도권에 너무 많은 인구가 산다. 국토 면적의 11.8%에 불과한 곳에 인구 절반 이상이 몰려 사는 나라가 과연 정상인가? 1970년 수도권 인구 비중은 전체 인구의 28.7%였는데, 50년 동안 무려 22.1%가 더 몰려 2024년 4월 기준 50.8%에 이르렀다.
지방을 살릴 방도는 진정 없는가. 문제를 제대로 진단해야 그 처방전을 제대로 만들 수 있다. 수도권 집중과 과밀화,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와 양극화, 지방의 인구 감소와 지역 위기의 문제 원인을 진단하고, 어느 곳에 살든 국민 누구나 인간답게 행복을 누리도록 할 수 있는 진정한 지역 재생의 처방전을 제시하는 책을 만났다. 1장에서는, '지역은 국가 권력에 의해 소멸을 강요당해 왔지만 결코 소멸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지방소멸론'에 대한 올바른 대응을 말하고 있다. '지방소멸' 망령의 출몰 아래 일제 수입 불량품으로서의 지방소멸론의 허구와 문제점, 개발주의 지역정책의 파탄 실태, 효율성과 경쟁력 함정에 빠진 압축도시·메가시티론 비판, 생활인구·관계인구·고향사랑기부제의 한계점 진단과 대안 제언, 우리 사회를 재구성할 기회로서 인구감소 문제 진단 그리고 지역 위기를 결과한 외생적 개발에서 지역의 힘으로 지역을 살릴 내발적 발전으로 지역개발 패러다임의 근본적인 전환을 주창하며 '지역소멸론'에 대한 올바른 대응책을 제시하고 있다.
4장에서는, '농어민이 행복해야 국민이 행복하다'는 관점에서 농정대전환을 위한 일곱 가지 농정 개혁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농업 보조금에서 농업공익기여직불로 농업 재정 개혁, 지역개발보조금에서 농산어촌 주민수당으로 지역개발 재정의 혁신, 기후위기·식량위기 대응과 국민의 먹을거리 기본권 보장을 위한 먹을거리 기본법 제정, 만약 제 역할을 한다면 농촌 문제 절반을 해결할 수 있을 정도라는 농협 개혁, 국가 권력이 자행해 온 농지 수탈과 절반에 이르는 비농민 농지 소유의 악순환을 근절할 진정한 농지제도 개혁, 우리 민족의 정체성인 '쌀' 문제를 해결하고 근본적인 식량 안보를 도모할 식량자급률 제고 대책 그리고 농어촌과 도시 간 삶의 질 격차를 주민 스스로 해결해 나가도록 하는 주민행복권 보장과 이를 위한 읍·면·동 주민자치 부활 등, 농정대전환을 위한 농정 개혁 과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황제식사'와 '세금폭탄', '전관예우'에 감춰진 사실기득권자들이 만들어 놓은 '프레임'에 속지 않고 살아가기
Read more »
[최정혁의 마켓 나우] 주식 투자자가 ‘스토리’에 속지 않으려면미국 양대 일간지 뉴욕타임스와 월스트리트저널이 130년 이상 축적한 전체 기사 데이터와 S&P500 지수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패닉’ 관련 스토리와 ‘주식시장 버블’ 관련 스토리는 향후 주가 수익률에 대해 상당한 예측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패닉 스토리’가 강해질수록 오히려 높은 주가 수익률이 뒤따랐고, 주식시장 ‘버블 스토리’의 경우는 반대였다. 스토리가 무르익어 가면서 주가는 점점 적정 가치를 벗어나고 결국엔 주가 움직임의 전환이 시작된다.
Read more »
윤 대통령과 이 대표는 계속 만날 수밖에 없다 [정치에 속지 않기]따지고 보면 지난 4월 총선은 3차전인 셈이다.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간의 직접적인 경쟁이었던 2022년 3월 대선, 그 뒤에 곧바로 치러진 지방선거가 각각 1, 2차전이다. 3차전까지 윤 대통령과 이 대표는 대립 관계였고 그 관계는 언제 풀릴지 알 수 없었다. 입법 강행과 거부권 행사가 잇따랐고 때론 적대적 언사가 가세하면서 타협은 고
Read more »
‘최저’ 尹지지율, 지금이 저점일까 추가 하락할까 [정치에 속지 않기]23%가 나왔다.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한국갤럽, 4월 3주차 16~18일 조사, 1000명 대상)이 직전인 3주전 조사보다 11%p나 빠졌다. 여당의 총선 참패 결과가 영향을 줬음이 분명해 보이지만 그걸 감안하더라도 폭이 크다. 중도층뿐만 아니라 보수층 일부에서도 지지를 철회하지 않고서는 나오기 어려운 수치다. 보수 텃밭인 대구.경북(TK)의 지지율(긍
Read more »
서문시장의 환호 잊고, 5.4%P 표 차이 기억해야 [정치에 속지 않기]우리 정치의 핵심 인물은 누가 뭐라 해도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민주당 대표다. 그 밖에 인물들은 지금 아무리 주목을 받고 있더라도 이차적이고 부차적이다. 그들의 길 자체는 핵심 인물의 선택과 행보에 따라 달라진다. 지금 정치적인 변화의 출발점은 집권하고 있는 윤 대통령과 다수당을 이끄는 이 대표일 수밖에 없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총선에서 참패했다. 임기
Read more »
어째 묘하게 흘러가는 ‘이재명의 민주당’ 안팎 [정치에 속지 않기]이건 뭘까라는 생각을 들게 하는 장면들이 최근 더불어민주당 안팎에서 보였다. 우선 국회의장 후보 경선. 결과 발표 직후 민주당은 환호와 축하보다는 침묵이 흘렀다.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는 반응, 당혹스럽다는 반응이 동시에 섞인 탓이다. 당심이 명심이고, 명심이 민심이라고 외쳤던 추미애 당선인이 탈락하고, 명심을 말하긴 했지만 온건파로 간주된 우원식 의원이 후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