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행, 단기금리 인상 단행... 금융완화 정책 종료 신호탄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은 19일 이틀간 개최한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매우 낮은 수준으로 억제하는 '대규모 금융완화'의 핵심인 마이너스 금리 정책 해제를 결정하고 금리 인상을 발표했다.
2016년 2월부터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도입해 은행에 돈을 맡기면 오히려 이자를 내야 하는 -0.1%의 단기 정책금리를 적용해 왔는데, 이번에 0.1%포인트 올려 단기금리를 0∼0.1%로 유도하면서 8년 만에 다시 '금리 있는' 시대를 열었다. 그러면서 1%로 정했던 장기금리 변동 폭 상한선을 없애고 금리 변동을 용인하기로 했다. 아울러"필요할 경우 망설임 없이 추가적인 금융완화 정책을 추진하겠다"라는 포워드 가이던드도 삭제키로 했다. 현지 공영방송 NHK는 마이너스 금리 정책으로"17년 만의 금리 인상으로 세계에서도 이례적이었던 일본의 금융정책이 정상화를 향해 큰 전환을 하게 됐다"라고 평가했고, 도"일본은행이 대규모 금융완화 정상화에 착수하면서 금융정책이 역사적인 전환점을 맞았다"라고 전했다.
일본 최대 노동조합 조직인 '렌고'는 지난 15일 중간 집계에서 평균 임금 인상률이 작년 대비 1.48%포인트 높은 5.28%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오는 7월로 예정된 최종 집계에서도 5%대를 유지하면 1991년 이후 33년 만에 5%가 넘는 임금 상승률을 기록하게 된다.일본 정부 관계자는 NHK에"일본은행이 금융정책의 대전환을 앞두고 시장과 성실하게 소통해 왔기에 큰 혼란은 없을 것으로 본다"라며"한층 더 확실한 임금 상승과 디플레이션으로부터의 탈출을 위해 정부와 일본은행이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일본의 주식 시장이 사상 최고의 호황을 누리는 가운데 이번 금리 인상이 기업의 투자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금융 애널리스트 오츠키 나나는 NHK에"오히려 업태를 전환하거나 혁신을 일으키려는 동기가 될 수도 있다"라며"마이너스 금리라는 비정상적인 상태를 정상화하는 것은 기업 본연의 자세도 바뀌어 가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은"일본은행이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해제했으나, 미국과 일본의 금리 차가 큰 상태가 이어질 것으로 관측되면서 달러화를 사들이는 움직임이 일시적으로 우세해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홍콩상하이은행 프레데릭 노이먼 아시아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에"일본은행이 가장 피하고 싶은 것이 엔화 가치가 반등하는 것"이라며"엔화 약세는 일본 경제와 주식 시장에 큰 이득을 안겨줬기에 이를 없애고 싶지 않을 것"이라고 짚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검찰 독재 심판'... 강득구·민병덕·이재정 합동 출마선언안양 세 선거구 본선 대진표 확정, 이재정-심재철 4년 만에 재대결
Read more »
여기도 ‘꿈의 열차’ 도입한다는데…사업비 4.5조 ‘돈문제’ 해결될까 [방방콕콕]국토부·대전·세종·충북도 협력체 28일 출범 시속 180㎞ 넘는 GTX급 열차 도입 대전~세종청사 15분 만에 주파 2028년 착공·2034년 개통 추진 민자적격성조사 진행···내년 완료
Read more »
“조급함에 샀던 아파트, 결국 쏟아지네”…경매 신청건수, 1만건 넘어1월 신규 경매 신청 건수 1만619건 2013년 1월 이후 11년 만에 최다 꼬마빌딩 등 상업용 건물도 경매행 명동 중심지 4층 건물 318억 ‘유찰’
Read more »
'올 미국 기준금리 인하 3번 아닌 2번 그칠수도'세계중앙은행 금리 슈퍼위크이번주 21개국 발표 앞둬19~20일 FOMC 결정 주목日, 마이너스 금리 해제 전망
Read more »
북한, 17년 만에 여자축구 U-20 아시안컵 우승···일본에 2:1 승리북한이 일본을 꺾고 20세 이하(U-20) 여자 축구 아시아 정상에 올랐다.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 등 북한 관영매체들은 “커다란 고무적 힘을 안겨주고 있다”고 추켜세웠다. ...
Read more »
1년 미만 ‘임시직’ 2년 만에 최대폭 늘어 461만명…70세 이상이 42% 차지1년 미만의 단기 일자리인 임시직이 2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직접일자리 사업 영향으로 노인 일자리가 11만명 넘게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