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규슈 남동부 미야자키현 앞바다에서 8일 오후 4시43분께 규모 7.1의 지진이 발생했다. 일본 정부는 이번 지진이 수십만 명의 희생자가 발생할 수도 있는 ‘난카이(남해) 해구 대지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평소보다는 높다며 ‘거대 지진 주의’를 발표했다. 일본 기상
일본 규슈 남동부 미야자키현 앞바다에서 8일 오후 4시43분께 규모 7.1의 지진이 발생했다. 일본 정부는 이번 지진이 수십만 명의 희생자가 발생할 수도 있는 ‘난카이 해구 대지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평소보다는 높다며 ‘거대 지진 주의’를 발표했다.
일본 기상청은 이날 미야자키현 앞바다 깊이 30㎞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미야자키현 일부 지역에선 진도 ‘6약’의 흔들림이 관측됐다고 밝혔다. 진도 6약은 서 있는 것이 힘들고 벽의 타일과 창 유리가 파손되거나 책장이 넘어질 수 있는 수준을 말한다. 지진의 영향으로 일부 지역에서 부상자가 발생했고, 철도 운행이 중단되거나 도로의 통행이 금지되는 곳도 보고됐다. 미야자키공항은 활주로를 폐쇄하고 모든 항공기의 이착륙을 정지했다. 기상청은 규슈 미야자키현·오이타현·가고시마현과 시코쿠 고치현·에히메현 등지에 쓰나미 주의보를 발령했다. 쓰나미 최대 높이는 1m 정도로 추정된다. 진원지 주변 가고시마현 센다이 원자력발전소, 에히메현 이카타 원자력발전소에선 별다른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일본 기상청은 ‘난카이 대지진 임시정보’를 내고 “평소와 비교해 거대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졌다”며 ‘거대지진 주의’를 발표했다. ‘거대지진 주의’는 난카이 대지진 상정 진원 주변에서 규모 7 이상의 지진이 일어나는 등 주의가 필요할 경우 발표된다. 기상청은 “평소에 대비를 재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스스로 대피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2017년 11월 이 제도가 도입한 이후 ‘난카이 대지진 임시정보’가 발표된 것은 처음이다. 난카이 대지진은 수도권 서쪽인 시즈오카현 앞바다에서 시코쿠 남부 해역까지 이어진 난카이 해구에서 100~200년 간격으로 발생하는 대지진이다. ‘난카이 대지진’이 발생하면 쓰나미 등으로 최악의 경우 32만명 이상의 희생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예측도 있다.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이날 열린 긴급 기자회견에서 "인적·물적 피해는 확인 중"이라며 "지자체와 협력하면서 경찰, 소방, 자위대, 해상보안청을 중심으로 재해 대응에 전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속보] 일본 미야자키현 앞바다서 규모 7.1 지진···“쓰나미 주의보”일본 규슈 남부 미야자키현 앞바다에서 8일 오후 4시43분쯤 규모 7.1 지진이 발생했다고 현지 공영방송 NHK 등이 보도했다. 이 지진으로 미야자키현과 고치현, 오이타현, ...
Read more »
[단독] 지방건설사 잇단 법정관리에…분양피해액 벌써 5천억 넘겨김은혜 국민의힘 의원실 자료 올해 6월까지 분양보증 사고 13건, 5728억원 규모 발생 “입주예정자 피해 최소화해야”
Read more »
최상목, 티메프 사태에 “5600억원 지원 신속 집행...추가적 유동성 방안 강구”1일 오전 거시경제금융회의 개최 “미국, 통화정책 전환 가능성 열어둬...경계심 갖고 대응”
Read more »
어쩐지 피곤하더라니…재택근무하면 수면장애 겪을 가능성 더 높아재택근무를 하면 그렇지 않은 노동자보다 수면장애를 겪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일터와 가정 사이의 경계가 희미해지면서 나타나는 ‘일·가정 갈등’과 연관된 현상으로...
Read more »
폭우 가능성 줄었지만 주의 필요...제3호 태풍도 발생■ 진행 : 조용성 앵커■ 출연 : 반기성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
Read more »
“다들 작년보다 더 벌었나보네”…4인가구 중위소득 609만원, 증가폭 3년 연속 최대중앙생활보장위원회 결정 6.42% 인상, 3년연속 최대 생계급여 대상 7.1만명 증가 복지확대 내년 9400억 소요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