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넷플릭스는 ‘오징어 게임’의 글로벌 성공 이후 예능 ‘오징어 게임: 더 챌린지’를 공개했습니다. ‘오징어 게임’ 같은 OTT 콘텐트가 또 나올까요? 넷플릭스 발표에 따르면 ‘오징어 게임’은 공개 이후 28일간 1억4200만 가구가 시청했고, 16억5045의 시청시간을 축적했습니다.
넷플릭스의 모델이 표준이 되면서 콘텐트 업계에 오리지널 지식재산권 경쟁이 치열하다. 이 비즈니스 모델의 창시자, 넷플릭스는 막대한 투자로 오리지널 IP를 더 많이 확보하고, 구독자를 매년 늘려가고 있다. 이로써 각종 영상 콘텐트 제작 생태계는 새로운 미디어 시대로 이행했다. 경쟁자는 멸종과 진화의 갈림길에 서 있다. 넷플릭스 방식을 따라갈 것인가 아니면 독자 노선을 찾아갈 것인가. 이를 정하기에 앞서 우선 넷플릭스화를 이해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다음은 넷플릭스화와 관련된 20개의 핵심 질문.오리지널 콘텐트는 구독자를 붙잡는 중요한 마케팅 수단입니다. 북미 시장조사업체 라이트만 리서치 그룹은 “복수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청하는 미국인이 2016년 28%에서 2021년 58%로 늘었다”며 그 이유로 “각 스트리밍 업체들이 제작하는 오리지널 콘텐트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앞으로도 넷플릭스는 갖은 유난을 떨며 오리지널 콘텐트 제작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단시간에 디즈니 100년 역사의 IP 라이브러리를 따라잡으려면 막대한 투자만이 답입니다. 디즈니 플러스가 당장은 힘을 쓰지 못하고 있더라도, 이들은 IP 부자입니다. 어떤 마법으로 치고 나올지 모릅니다. 시간이 약점인 넷플릭스는 하루빨리 IP 왕국을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하우스 오브 카드’라고 생각하셨죠? 땡! 답은 2012년 노르웨이 방송사 NRK1에서 방영한 ‘릴리해머’. 넷플릭스는 ‘릴리해머’ 주인공이자 작가 겸 총괄 프로듀서인 스티븐 반 잔트와 시즌1 판권, 시즌2 제작 계약을 맺었습니다. 2012년 2월 6일부터 미국, 캐나다, 라틴아메리카 지역에 방영을 시작했죠. 하반기에는 영국, 아일랜드, 북유럽에 공개했습니다. ‘릴리해머’는 넷플릭스 콘텐트 제작 방향성을 마련한 중요한 작품이기도 합니다.넷플릭스 오리지널의 창세기를 연 노르웨이 ‘릴리해머’.
넷플릭스 공동대표 테드 서랜도스는 지난해 2월 6일 ‘릴리해머’ 공개 10주년을 기념하는 글을 통해 “넷플릭스가 다양한 국가에 다양한 언어로 스트리밍한 첫 번째 시리즈였고, 이는 성공적이었다. 사실 ‘릴리해머’는 넷플릭스 첫 번째 시리즈로 발표하기엔 조금 독특한 선택이었다. 하지만 ‘전 세계에 전달할 수 있는 로컬 이야기’라는 점에서 효과가 있었다”고 회고했다. 넷플릭스는 이후 수많은 훌륭한 로컬 이야기를 글로벌 단위로 성공케 합니다. 우리에게 가장 놀라운 성과는 단연 ‘오징어 게임’입니다. 이런 프로젝트가 나올 수 있었던 것은 앞서 무수한 ‘글로컬’ 오리지널 콘텐트 실험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죠.
오리지널콘텐트 오리지널시리즈 오징어게임 릴리해머 킹덤 봉준호 제작비 이정재 오징어게임2 OTT 오징어 게임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해외투자 큰손된 개미들 일방향·편중 투자 심해'한은 '묻지마 투자' 경고해외 주식 상위 10개 종목투자비중 작년 48%로 확대'지나친 투자 외환수급 부담'
Read more »
“해발고도 1000m 태백산맥에도 로켓 간다”…인구 9000명 시골까지 ‘쿠세권’3년간 3조원 투자 통해 신속 배송 가능 지역을 70%-|88%로 확대할것 1.5조 투자하는 알리 등과 韓시장 놓고 ‘쩐의 전쟁’ 개막
Read more »
생산·설비투자 호조에도 … 문제는 '내수부진'2월 산업생산 넉달째 증가반도체 덕분에 투자 10% 쑥소매판매 2개월만에 하락
Read more »
올해 마흔살 된 짜파게티…성수동에 분식점 냈다짜파게티 매년 2000억 매출 한 달 간 분식점 팝업 운영 시식·게임 등 다양한 놀거리
Read more »
尹 “AI 반도체 시장 석권 위해 과감한 지원책 마련”“반도체전쟁은 국가총력전” 용인국가산단 2026년 착공 AI 반도 R&D 투자 확대 2027년까지 9.4조 투자
Read more »
‘위약금’도 없이 그냥 빼간다고? K리그, ‘축협 갑질’에 이번에도 침묵할 건가K리그 구단들은 한 해 수십억 원에서 수백억 원을 투자한다. 한 축구계 관계자는 “울산 HD FC, 전북 현대는 한 해 예산만 300~400억 수준”이라고 전했다. 이어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예산 지원을 받는 시·도민 구단 가운데 한 해 예산이 100억 원 이상인 팀도 있다”고 했다. K리그 구단은 자선 사업을 펼치는 비영리적인 단체가 아니다. 투자 대비 수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