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간절곶, 2025년 첫 일출

NEWS News

울산 간절곶, 2025년 첫 일출
NEWS일출2025년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19 sec. here
  • 7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8%
  • Publisher: 51%

울산 간절곶에서 2025년 첫 일출이 찍혔습니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취소된 해맞이 행사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은 새해 첫날 일출을 바라보며 좋은 일만 있기를 소망했습니다.

2025년 새해가 밝았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일출 명소로 알려진 전국의 해맞이 행사가 취소됐지만 아쉬움에 해맞이 행사장을 찾은 사람들도 적지는 않았다. 일출은 지역마다 시간이 조금씩 달랐지만 새해 첫해는 힘차게 떠올랐다. 지난해 말 비상계엄과 탄핵 사태, 제주항공 사고까지 무거운 소식들이 이어졌지만 시민들은 새해 첫날 일출을 바라보며 올해는 좋은 일만 있기를 소망했다.

현장 화보 구독 구독중 힘차게 떠오르는 을사년 새해 양지웅 기자=2025년 을사년의 시작인 1일 강원 양양군 하조대 해변에서 바라본 수평선에 붉은 해가 떠오르고 있다. 2025.1.1 동해 망상해변의 새해 일출 1일 강원 동해시 망상해변 앞바다에서 2025년의 시작을 알리는 붉은 해가 솟아오르고 있다. 2025.1.1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나흘째이자 2025년 새해 첫날인 1일 전남 무안공항 사고 현장 위로 해가 뜨고 있다. 2025.1.1.이준헌 기자 ‘첫 일출 간직할래요’ 김용태 기자=1일 오전 한반도 육지에서 해가 가장 먼저 뜨는 울산시 울주군 서생면 간절곶에서 시민이 2025년 첫 일출을 하트 모양으로 만든 손 안에 담고 있다. 2025.1.1

We have summarized this news so that you can read it quickly.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news, you can read the full text here. Read more:

kyunghyang /  🏆 14. in KR

NEWS 일출 2025년 새해 간절곶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2025년 국내외 스포츠, 겨울 아시안게임과 클럽월드컵 주도2025년 국내외 스포츠, 겨울 아시안게임과 클럽월드컵 주도올림픽과 월드컵 없는 2025년, 겨울 아시안게임과 확대된 FIFA 클럽월드컵이 주목받는다. 겨울 아시안게임은 중국 하얼빈에서, 울산 HD는 미국에서 개최되는 클럽월드컵에 출전한다.
Read more »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2025년 '의료공백 해소' 위한 의료개혁 착실히 추진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2025년 '의료공백 해소' 위한 의료개혁 착실히 추진2025년 부처 운영 첫 과제로 의료공백 해소와 생명과 지역을 살리는 의료개혁을 착실히 추진하겠다고 선언하며, 의료인력 양성체계 마련, 의료전달체계와 보상체계 혁신, 의료사고 안전망 강화를 구체적인 실행안으로 제시했다.
Read more »

울산 태화강에서 연어 회귀 첫 포획울산 태화강에서 연어 회귀 첫 포획울산 태화강에서 올해 처음으로 연어가 포획됐다. 2005년 이후 가장 적은 수치지만 연어의 회귀는 울산 지역사회에 큰 의미를 주고 있다.
Read more »

AI 잘알 되기: 팩플이 가이드하는 2025년 AI 트렌드AI 잘알 되기: 팩플이 가이드하는 2025년 AI 트렌드인공지능(AI) 용어와 개념, 2025년 AI 트렌드 읽는 가이드북
Read more »

2025년 증시, '상저하고' 전망2025년 증시, '상저하고' 전망불확실성 속 증시, 2025년 상승 흐름 예상
Read more »

구미시, 중소기업 경영 안정 위해 1,800억 운전·시설자금 지원구미시, 중소기업 경영 안정 위해 1,800억 운전·시설자금 지원구미시는 2025년 중소기업 경영 안정을 위해 총 1,800억 원 규모의 운전·시설자금을 지원한다.
Read more »



Render Time: 2025-02-23 13:5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