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경기 불황이 이어지면서 올해 상반기 내수기업의 매출액이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한 2020년 이후 전년 동기와...
임성호 기자=경기 불황이 이어지면서 올해 상반기 내수기업의 매출액이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한 2020년 이후 전년 동기와 비교해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한국경제인협회가 13일 사업보고서 제출 대상인 비금융업 법인 814개사의 경영 성과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이들 기업의 전체 매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6.7% 증가했다.다만 이런 증가세는 수출기업의 매출액이 13.6%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나머지 내수기업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1.9% 감소했다. 2020년 이후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감소한 것은 4년 만이다.한경협은 한국은행의 기준을 준용해 매출액 중 수출 비중이 50% 이상인 기업을 수출기업, 그 미만인 기업을 내수기업으로 분류했다.
매출액이 줄어든 내수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지주회사, 도소매업,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제조업 순으로 감소율이 높았다. 한경협은 지주회사의 매출 감소는 자회사 실적 부진에 따른 배당 축소, 도소매업의 감소는 소비 부진의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했다.이런 착시효과가 빚어진 것도 2020년 이후 4년 만에 처음이다. 아울러 올해 상반기 수출기업 매출 증가세는 지난해 매출액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한 측면도 있다고 한경협은 분석했다.아울러 올해 상반기 기업 투자 역시 2020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전체 기업 투자 증가율은 2020년 16.9%에서 2022년 9.5%로 낮아졌다가 지난해 15.7%로 반등했으나 올해 들어 다시 대폭 줄었다. 이에 경제 전반의 성장 동력이 위축될 우려가 나온다고 한경협은 설명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 위축과 반도체 등 주력업종 하락 사이클 진입 등으로 지금의 수출 실적이 정점이 아니냐는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며"가계 소비와 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유연한 통화정책, 투자지원 확대, 규제 완화 등 전방위적인 경제살리기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아마존서 한국생리대로 이름 날린 ‘이 회사’…건강기능식까지 돌풍라엘, 여성특화제품 강화 여성 유산균·크랜베리 인기 올해 상반기 매출 8배 늘어
Read more »
美·獨은 주택용 전기료가 2배 기업요금 낮춰 수출산업 지원주요국 전기료 비교해보니한전 올해 상반기 적자 41조방만경영 방치, 요금만 올려원료비 연동제 도입 결단해야
Read more »
한세예스24그룹 “올해 매출 2.8조 예상…내년 의류소비 개선될 것”의류소비 침체로 매출 소폭 감소 한세실업, 중미서 수직계열화하고 동아출판은 AI교과서 시장 공략 “M&A로 사업 다각화 지속할것”
Read more »
“전세계 여자들이 바르려고 난리났다더니”...소문난 K화장품 주가는 왜이래LG생활건강, 매출 감소·중국 적자에 3Q 어닝쇼크 아모레퍼시픽, 코스알엑스 제외 시 적자 확대 전망 럭셔리 화장품 시장 부진 불가피…개선 여부 불투명
Read more »
CIA가 돈 대고 페이팔 마피아가 창업해 올해 150% 뛴 ‘비밀의 기업’ 대선날 급등 조짐팔란티어, AI 수요 확장에 호실적 행진 3분기 이어 4분기에도 매출 확대 예고 올해 150%뛰고 9월 S&P500 편입도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와 더불어 러시아·우크라 전쟁서도 우크라 지원
Read more »
네카오 3분기 실적 엇갈린 희비…네이버 날고 카카오 주춤(종합)(서울=연합뉴스) 김현수 기자=국내 대표 플랫폼 네이버와 카카오[035720]의 올해 3분기 실적이 콘텐츠 매출 등 요인으로 엇갈렸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