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론화 절차 마무리, 시민대표단 설문결과 22일 오후 발표
발행 2024-04-21 20:51:38 연금개혁 에 대한 공론을 모으기 위한 '500인 시민대표단 숙의토론회'의 마지막 토론이 21일 진행됐다. 토론회 직후 시민대표단은 설문조사를 통해 연금개혁 에 대한 최종 의견을 모을 예정이다.
이날 토론에서 소득보장론 측으로 나선 남찬섭 동아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연금은 국민을 위해 존재해야지, 국민이 연금을 위해 존재해서는 안 된다"며 소득대체율 인상을 주장했다. 남 교수는"소득대체율을 현행대로 유지할 경우 노인빈곤율은 2022년 342만명에서 점진적으로 줄다가, 2065년부터 다시 늘기 시작해 2085년 430만명까지 늘어날 것"이라며"소득대체율을 50%로 올리고 여기에 기초연금을 더하면 최소 생활비가 보장된다"고 설명했다. 김수완 강남대 사회복지학 교수는"캐나다의 경우 두 차례에 걸쳐 6%이던 보험료율을 11.9%로 올려 재정 안정화를 가져온 뒤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고 나서야 소득대체율을 상향했다"며"지금 우리가 먼저 해야 할 건 보장성 강화를 지르는 게 아니라 충분히 할 수 있는 만큼 개혁을 한 다음에 시점을 판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재정안정론 측 김태일 고려대 행정학과 교수는"빈곤한 분들에게는 현재의 기초연금 급여가 충분치 않다"며"지급 기준 하위 70%를 고수하는 대신 50% 정도로 바꾸면 지급 대상이 줄고 가난한 분들에게 더 많이 줄 수 있다"고 반박했다.남찬섭 교수는"소득대체율 40%일 때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직역연금 등을 모두 합한 공적연금 지출은 2060년에 국내총생산 대비 12.1%이고, 소득대체율을 50%로 올리면 13.5%인데 유럽연합은 13.9%"라며" 노인인구 대비 그렇게 많이 지출하는 것도 아니"라고 설명했다. 의무가입 상한 연령 상향은 단일 안으로 제안된 만큼 소득보장론, 재정안정론 양측 모두 찬성하는 입장을 보였다. 주은선 교수는"정년 연장은 당연한 것이지만, 한가지 문제는 정년이 적용되는 일자리가 전체 사업장이 전체 중 20% 정도라는 것"이라며"전체적으로 더 오래, 더 괜찮은 일자리에서 일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건호 위원장은"현재 정년에 해당되지 않는 사업장이 많기 때문에 중요한 것은 계속 고용을 위한 사회적 계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국민연금, 더 내고 더 받아도 ‘노답’?...적자 8배 더 늘어난다는데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공론화위)가 소득보장 강화를 위해 내놓은 ‘더내고 더받는’ 연금개혁안은 20세 이하와 앞으로 태어날 미래세대에 대한 보험료 부담을 크게 지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민연금 기금이 모두 소진된 후 적자규모도 현행 제도를 유지했을 때보다 8배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급격한 저출생고령화로 노령연금 수급기간은 늘어나
Read more »
[정동칼럼]‘더 내고 더 받기’가 말하지 않는 것연금개혁 공론화위 시민대표단 500명이 선정되었다. 이들은 4월에 두 번의 숙의를 거친 뒤 최종 설문조사로 연금개혁안을 제시한다. 여러 의제 중 단연 쟁점은 국민연금 보험료율...
Read more »
'느린 재난'은 언제 시작되는가?더 오래된, 더 넓은 '가습기 살균제 참사'
Read more »
조국혁신당 ‘파란불꽃’ 선대위 출범···“검찰독재정권 하얗게 태우겠다”조국혁신당이 24일 선거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고 선대위 이름을 ‘파란불꽃’으로 지었다. 조국혁신당은 “빠르게, 더 강하게, 더 선명하게, 가장 뜨거운 파란불꽃이 돼 검찰 독...
Read more »
이것이 찐 K크리처물...‘부산행’ 찍고 ‘기생수’[多리뷰해][多리뷰해 ㊹‘더 기생수 : 더 그레이’] 기생생물 비주얼이 미쳤네요...원작 살리고, 한국판 개성도 살리고 전소니·하이디·구교환, 환장과 환상 사이..이정현·김인권 옥에티 될까
Read more »
“전세사기·역전세 해결이 더 시급”…전월세 신고 안해도 1년 더 과태료 면제내년 5월 31일까지 계도기간 과태료도 최대 100만→20만원 낮춰 오는 7월부터 전월세 신고 모바일로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