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에 조선인 강제동원이 대규모로 이뤄졌던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이 지난 27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가운데, 시민단체가 31일 외교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부의 사도광산 등재 찬성은 일본의 ‘강제동원 역사 지우기’에 동참한 것”이라고 규탄하며
민족문제연구소, 정의기억연대 등이 속한 시민단체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 회원들이 3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앞에서 열린 ''일제 강제동원 부정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관련 기자회견에서 윤석열 정부를 비판하는 손팻말을 들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외교부에 항의서한을 전달했다. 민족문제연구소, 정의기억연대 등이 속한 시민단체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앞에서 “강제동원 표현 않기로 합의한 외교부는 사죄하라” “일본 역사 왜곡에 합의한 윤석열 정부 규탄한다” 등의 구호를 외치고, 정부의 대일 ‘굴욕외교’를 강력히 규탄한다는 내용의 항의 서한을 외교부에 전달했다. 사도광산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는 과정에서 한국인 노동자에 대한 ‘강제 동원’이 빠진 것에 대해, 일본 언론에서 한·일 정부가 사전에 협의했다는 보도가 나오는 등 저자세 외교 논란이 일고 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김영환 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은 “한국 정부가 아무것도 하지 않을 때 강제동원 피해자들과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들은 수십년간 일본과 한국을 오가며 ‘강제동원은 반인도적 불법행위’라는 대법원 판결을 받아냈다”면서 “일본은 사도광산의 역사적 성과를 자랑하기 위해 처음부터 끝까지 ‘한반도 출신 노동자’라는 말을 썼는데, 이는 2018년 대법원 판결이 나온 뒤 아베 신조 전 총리가 ‘강제성’을 부정하기 위해 만든 말이다. 우리 정부는 부끄럽지도, 참담하지도 않느냐”고 말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윤 정부, 일 과거사 지우기 동참”…사도광산 세계유산 잠정 합의한국과 일본이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동원이 대규모로 이뤄졌던 일본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에 잠정 합의한 것으로 26일 전해지자, 야당은 “일본의 과거사 지우기에 동참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외교통일위원회의 야당 의원들은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Read more »
일 ‘강제동원 지우기’에 동조…“윤 정부, 역사의 진실까지 양보”일본 니가타현에 있는 사도광산이 일제강점기 조선인 동원의 ‘강제성’ 등이 빠진 채 세계유산에 등재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일본 쪽이 ‘조선인 강제동원’을 인정하지 않았는데도 윤석열 정부가 세계유산 등재에 동의해줬기 때문이다. ‘강제성’은 당시 가혹한 노동에 시달린
Read more »
'아버지의 피, 땀, 눈물도 기록하라' 사도광산 피해자 유족, 유네스코에 호소문조선인 강제동원 현장인 일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여부 결정을 이틀여 앞두고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들이 오늘(25일) 21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국에 “강제동원 피해 사실을 함께 기록해달라“는 내
Read more »
‘강제동원’ 빠진 日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시민모임 “정부, 알았다면 매국 행위”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동원이 이뤄졌던 일본 사도광산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것과 관련해 강제동원 피해자 지원단체는 “일본의 역사 왜곡을 정부가 사전에 알았다면 제2의...
Read more »
'4.8 강진·엉터리 초안에도 한빛원전 수명연장 공청회 강행...전남도 왜 침묵하나'호남권 70개 시민단체 "12일 영광군 공청회, 법원 결정 뒤로 미뤄야"
Read more »
'4.8 강진에도, 엉터리 초안에도 한빛원전 수명연장 공청회 강행... 전남도는 왜 침묵하나'호남권 70개 시민단체 "12일 영광군 공청회, 법원 결정 뒤로 미뤄야"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