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한국의 사회지표'2022년 1인가구 비중 34.5%노인가구 533만으로 23.8%기대수명 82.7년 22년만에↓코로나로 수명 줄어들어'보수·진보 갈등 심해'83%
"보수·진보 갈등 심해"83%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하는 30대 싱글남 김 모씨는 최근 집에 홈피트니스 가구를 들여놨다. 혼자 살면서 눈치 안 보고 '나만의 공간'을 가질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김씨는"음식을 챙겨 먹는 게 힘든데 배달의 경우 최소 주문 금액이 있어 금전적 부담이 만만치 않은 것이 단점"이라고 말했다.1인 가구와 노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싱글·실버이코노미 산업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3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2022년 전체 가구 수는 2238만가구로 전년보다 36만가구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5년 전인 2017년보다 222만가구 늘어난 것이다.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2.2명으로 전년보다 0.1명, 2017년보다 0.3명 감소했다.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가 34.5%에 달했다. 2017년 28.6%, 2019년 30.2%, 2021년 33.4%로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2인 가구 비중도 28.8%로 증가세다. 반면 3인 가구와 4인 가구 이상은 줄어들고 있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싱글족 증가에 대해"결혼을 미루고 출산을 기피하는 등 가정을 이루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상징하는 것"이라며"우리 사회의 큰 부분을 담당했던 베이비부머가 노인 인구로 넘어감에 따라 소비 위축과 연금 문제 등이 본격적인 화두로 제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노인 가구 셋 중 하나 이상이 독거노인 가구다. 노인 홀로 사는 1인 가구 비중은 37.0%로 가장 많았고, 부부나 형제·자매가 함께 사는 1세대 가구가 36.0%로 비슷했다. 자녀와 함께 사는 2세대 가구는 22.7%였고 3세대가 같이 사는 경우는 3.1%에 불과했다.계속 늘어났던 기대수명은 200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다가 2022년에 20여 년 만에 처음으로 줄었다. 1년 전보다 0.9년 감소한 82.7년이다.
한편 보수와 진보로 나뉜 사회갈등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보수와 진보에 대한 사회갈등 인식률은 82.9%에 달해 가장 높았다. 갈등 정도가 얼마나 심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약간 심하다'와 '매우 심하다' 응답을 합친 비율이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단독] “혼자 사는 옆집 청년, 간밤에 울더라”…한국에도 꼭 필요한 ‘이 사람’ 누구국민통합위 1인가구 정책안 “1인가구 전담 컨트롤타워 필요 한국도 고독부 장관 만들어야”
Read more »
'제2부속실' 설치, 안 하나 못 하나[이충재의 인사이트] 대통령실 공언 네 달 되도록 감감 무소식...총선 지나면 김 여사 대외활동 재개 예상
Read more »
“혼자 잘 살지만 이것은 같이하면 더 좋아”…만족도 90% 넘어선 모임 보니4050 1인가구 소셜다이닝 ‘행복한 밥상’ 함께 모여 요리·식사하며 인간관계 맺어 이달부터 서울시 15개 자치구에서 실시 지난해 시범운영 참가자 만족도 ‘93%’ 요리교실 등 횟수 늘리고 프로그램 강화
Read more »
비밀해제된 문서에 담긴 김활란과 낙랑클럽[김종성의 히,스토리] 김준혁 후보 발언 논란, 어떻게 봐야 하나
Read more »
인천에 살았던 하나 글래버 베넷을 아세요?[인터뷰] '인천 영국영사관과 하나 글래버 베넷 전' 참여한 야마다 유카리 교수
Read more »
민주, ‘갭투기’ 숨긴 이영선 세종갑 공천 취소…김종민 어부지리?이재명 “팔 하나 떼는 심정으로 제명 조치” 국민의힘 류제화·새로운 미래 김종민 2파전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