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 증가로 가구당 평균부채 첫 감소···자산 양극화는 커졌다

부채 News

1인가구 증가로 가구당 평균부채 첫 감소···자산 양극화는 커졌다
1인가계금융복지조사자산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36 sec. here
  • 7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5%
  • Publisher: 51%

올해 국내 가구당 평균부채가 처음으로 감소하면서,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가구당 순자산이 소폭 늘었다. 다만 자산 증대효과는 소득 상위 가구에...

올해 국내 가구당 평균부채가 처음으로 감소하면서,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가구당 순자산이 소폭 늘었다. 다만 자산 증대효과는 소득 상위 가구에 집중돼 자산 격차는 더 벌어졌다. 전체 가구 중 소득 1억원 이상 가구의 비중이 처음으로 가장 많아진 반면, 30대 이하 청년가구의 소득 증가율은 물가 상승률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내용을 보면 올해 가구당 평균자산은 5억4022만원으로 전년 대비 2.5% 늘었다. 예금·주식 등 금융자산과 부동산 등 실물자산이 각각 6.3%, 1.3% 증가했다. 저축액과 거주주택 외 주택 보유가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이에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가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보다 1.3%포인트 늘어난 45.8%를 기록했다. 다만 부채보유 가구의 평균 부채액은 1억5043만원으로 1.6% 증가했다. 부채 보유액이 3억원 이상인 가구는 13.1%로 전년 대비 0.3%포인트 늘어났다. 부채 부담이 줄었다고 보긴 어렵다는 뜻이다. 부채는 40대와 자영업자 가구에서 많았다.

하지만 자산 양극화는 커졌다. 소득 5분위별 순자산은 소득 1분위에서 2.0% 줄었다. 2분위와 3분위의 순자산도 1년 전보다 각각 1.6%, 2.3% 줄었다. 반면 소득 5분위와 4분위에서는 6.6%, 3.9%씩 늘었다.지난해 가구소득 평균은 7185만원으로 전년 대비 6.3% 늘었다. 2011년 통계 집계 이래 가장 큰 증가폭이다. 분야별 소득이 고루 늘었다. 근로소득, 사업소득은 1년 전보다 각각 5.6%, 5.5% 증가했다. 특히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면서 이자 등 재산소득은 559만원으로 전년 대비 28.1% 급증했다. 이에 재산소득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6.4%에서 7.8%로 커졌다.

We have summarized this news so that you can read it quickly.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news, you can read the full text here. Read more:

kyunghyang /  🏆 14. in KR

1인 가계금융복지조사 자산 양극화 통계청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자산 5.4억 있나요? 딱 평균입니다”…한국人 살림살이 살펴보니“자산 5.4억 있나요? 딱 평균입니다”…한국人 살림살이 살펴보니가구당 부채 첫 감소 가구소득 역대 최대폭 6.3% 늘어
Read more »

1인 가구 증가에 가구당 부채 첫 감소…평균 9천128만원1인 가구 증가에 가구당 부채 첫 감소…평균 9천128만원(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지난해 국내 가구당 평균 부채가 처음으로 준 반면, 자산은 늘면서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이 증가한 것으로 ...
Read more »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본사, 가맹점 매출의 최대 17%를 챙겨가치킨 프랜차이즈 가맹본사, 가맹점 매출의 최대 17%를 챙겨가치킨 프랜차이즈 가맹본사들이 가맹점 매출의 최대 17%를 가져가는 것으로 나타남. 가맹점주들 영업비용 증가로 매출 감소.
Read more »

사교육비 증가로 합계출산율 감소사교육비 증가로 합계출산율 감소한국직업능력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사교육비 지출이 늘어날 때 합계출산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교육비 지출이 늘어나며 합계출산율도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Read more »

한국 1인가구 증가와 소비 감소, 내수 침체 악화한국 1인가구 증가와 소비 감소, 내수 침체 악화한국은행에 따르면, 1인가구 비중이 35.5%에 달하는 가운데, 이들의 소득은 줄어들고 소비는 감소하고 있다. 이는 내수 침체를 악화시키고 있으며, 정부는 내수 활성화를 위해 소득공제율 상향을 검토하고 있다.
Read more »

“언젠간 결혼” 청년 1인가구... 韓 65% vs 日 81%“언젠간 결혼” 청년 1인가구... 韓 65% vs 日 81%KB경영연구소 1인가구 보고서 청년 결혼, 최대 고민거리 자금마련 한국 73%·일본 48%...韓부담 더 커 결혼비 완화 정책, 혼인율 제고 핵심 고물가·고금리에 1인가구 55% 부업 여윳돈 줄고 하루 두끼도 안먹어
Read more »



Render Time: 2025-02-24 07:2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