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소상공인 민생포럼 토론회 개최 “독과점 해결 없인 소상공인 소비자 모두 피해”
“독과점 해결 없인 소상공인 소비자 모두 피해” 국회 소상공인 민생포럼은 더불언민주당 서영교 의원의 주도로 23일 국회 본청에서 배달앱 수수료 문제를 논의하는 토론회를 열었다.
서 의원은 이날 토론회에서 “배달앱 업체가 매출액에 따라 수수료를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말씀처럼 을 내놓으시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카드 업체도 마케팅 비용을 줄여나가며 작은 영세업체의 수수료를 줄여준 사례가 있다”며 “서로가 상생하는 데 지원할 수 있는 게 있는지 찾아보겠다”고 말했다.서 의원은 “배달앱 플랫폼들이 수익을 우선시하여 소상공인에게 큰 경제적 부담을 지우고 있다”며 “결국 그 부담은 소비자에게도 전가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국회가 나서서 법적·제도적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론회에서는 배달앱의 높은 수수료 구조가 소상공인의 경영을 어렵게 한다는 구체적인 사례들이 소개됐다. 한 소상공인은 “매달 수수료를 지불하면 남는 돈이 거의 없다”며 “배달앱이 제공하는 광고 상품까지도 소상공인들에게 추가적인 부담을 준다”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소상공인은 ”코로나19 이후 배달앱 수수료는 폐업의 주된 원인이었다“며 “소상공인들에게 지속적인 경영이 어려운 상황이다”라고 설명했다. 배달앱 업계 관계자들은 수수료 인상이 구조적인 문제임을 설명하며 소상공인과의 상생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쿠팡이츠 관계자는 “영세 소상공인 대상으로 수수료 부담 완화 방안을 좀 구체적으로 고민을 하고 있다”라며 “조만간 좀 더 구체적인 내용으로 말씀드리겠다”라고 말했다. 배달의민족 관계자는 “추가 광고비 지출, 프랜차이즈 점포 간 범위 설정 문제 등에 대한 문제를 잘 정리해서 설명을 해드릴 수 있는 기회를 얻겠다”라고 말했다.끝으로 서 의원은 “배달앱 플랫폼의 독과점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소상공인과 소비자 모두 피해를 볼 것”이라며 “공정거래법 개정 등 법적 규제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렇게 함께 얘기할 수 있었으니 의미가 있었다고 생각한다”며 “저희가 중간 다리를 놓을 테니 필요하면 서로 협의체를 만들어 계속 이야기하자”고 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단독] 쿠팡, 배달수수료 ‘차등 적용’ 검토···수수료 갈등 물꼬 틀까배달플랫폼 기업들에 대한 수수료 인하 요구가 거센 가운데 쿠팡이츠가 배달수수료를 차등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쿠팡이츠는 관련 내용을 정부가 운영하는 배달...
Read more »
“다 뜯긴다 자영업 하지마 친구야”…국감장 나오는 배달앱 대표들배달 수수료 갈등 실마리 찾을까 ‘이목집중’
Read more »
배달 수수료 인상 여파...‘퀵커머스 배송’ SSM·편의점까지 퍼지나배달 수수료 인상 여파 확산 ‘퀵커머스’ SSM·편의점 배달앱 의존도 커져 “입점 재계약시 수수료 인상 걸림돌 될 수도”
Read more »
중개수수료 인하 압박에 배민 “차등 수수료 상생안 제시”중개수수료 인하 압박에 배달의민족(배민)이 정부 상생협의체에 ‘차등 수수료’를 골자로 하는 상생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입점업체의 매출액에 따라 수수료율을 차등적으로 책...
Read more »
배달료에 '이중가격 확산'…롯데리아도 배달주문가격 차등화(서울=연합뉴스) 전재훈 기자=외식업계에서 배달앱 수수료 부담으로 인해 배달 메뉴 가격을 매장 메뉴 가격보다 비싸게 책정하는 이중가격제가 확...
Read more »
배달 ‘차등 수수료’ 상생안, 정부·배달앱·입점업체 모두 만족시킬까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이 배달앱 상생협의 논의와 관련해 “상생 방안이 사회적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면 입법을 통한 제도 개선 등 추가적인 방안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공개적으로 배달 수수료 인하 압박에 나선 가운데, 업계 1위 ‘배달의민족’ 운영사인 우아한형제들이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