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와 행정안전부가 북한의 쓰레기 풍선 살포로 인한 피해 현황을 각각 집계하면서도 건수, 내용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항공기 이착륙 중지, 산불 발생 등 중요한 피해 내용들이 누락되거나 다른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지난 7월24일 오전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매골마을 부근에서 북측이 풍선 3개를 한 묶음으로 남쪽으로 띄우고 있다. 김봉규 선임기자 [email protected]이 나는 등 피해가 발생하고 있지만, 정부는 피해현황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 쓰레기 풍선 ’에 대응하고 있는 국방부 와 행정안전부 가 각각 집계한 피해 내용이 다르고 누락된 것도 있어, 부처 간의 정보 공유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겨레가 12일 채현일 의원실이 국방부와 행안부로부터 각각 제출받은 ‘쓰레기 풍선 피해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쓰레기 풍선 피해가 처음 발생한 지난 5월28일부터 8월26일까지 두 부처가 집계한 피해 현황은 건수, 내용 등에서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인천공항 비행 중지, 산불, 민간피해 등 국방부가 파악한 피해 내용이 행안부 자료엔 누락됐는가 하면, 언론에도 보도된 피해가 두 부처의 자료에서 찾아볼 수 없기도 했다. 우선 국방부가 지난 8월26일자로 만든 ‘쓰레기 풍선 피해 현황’ 문서를 보면, 북한이 11차례에 걸쳐 살포한 쓰레기 풍선으로 차량·지붕 파손 43건 등 재산상의 피해가 발생하고 항공기 이착륙이 중지됐다.행안부는 쓰레기 풍선 살포 10회차까지 총 46건의 피해가 있었다고 집계했다. 피해 내용은 주로 지붕이나 차량 파손으로, 화재 발생과 항공기 이착륙 중지 피해는 빠졌다. 또 7차 살포 당시 주택가 통신선 스파크 발생, 산불 발생 등 4건의 피해를 집계한 국방부와 달리, 행안부는 이 시기 아무런 피해가 없었다고 기록했다. 6차 살포 당시에도 인천공항 제2터미널 관제탑 인근에서 쓰레기 풍선 비산물이 발견돼 항공기 44편의 이착륙이 중지됐지만 행안부 집계에선 빠졌다.
언론 보도가 된 내용이 두 부처 집계 모두에서 누락되기도 했다. 지난 6월2일 인천공항 활주로에 쓰레기 풍선이 발견돼 항공기 운항이 일시 중단되는 사태가 보도됐는데, 국방부와 행안부 집계에 포함되지 않았다.행안부 관계자는 “현재 행안부는 순수 민간 피해 지원만을 위해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를 통해 접수된 신고를 집계 중”이라며 “실시간이 아니라 일주일 단위로 집계한다. 추후에 추가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쓰레기 풍선’ 대응 주무부처로 국방부와 행안부를 지목하고 있다. 국무조정실이 채 의원실에 낸 답변을 보면 정부는 “쓰레기 풍선에 대해 기본적으로 국방부에서 대응하지만, 국민 안전과 직결된 사안인 만큼 지자체 협조 아래 행안부에서 대응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지난 6월11일 국무회의에서 쓰레기 풍선 피해 지원계획을 논의한 이후 국조실에서 주관해 쓰레기 풍선 관련 관계부처 회의 등을 개최한 바는 없다”고 밝혔다.채 의원은 “국민의 안전이 직접 위협받고 생화학 무기 살포까지 우려되는 상황에서 국방부와 행안부의 피해 현황 불일치는 대통령실이 콘트롤타워 역할을 전혀 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무한 책임을 져야 할 대통령실이 북한의 지속된 도발에도 불구하고 국가안보의 중추 역할을 방기하는 현실이 개탄스럽다”고 비판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뉴스나우] 북한, 쓰레기 풍선 살포 재개...고강도 도발 가능성은?■ 진행 : 김선영 앵커■ 출연 :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
Read more »
북한 '쓰레기 풍선'에 의한 부상자 발생 뒤늦게 확인지난 7월 북한이 띄어 보낸 오물 풍선에 의한 부상자가 발생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박수빈 서울시 의원(강북구 제4선거구)은 5일 오후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3일 서울시 비상기획관 업무보고를 통해, 7월 24일 서울시 강서구 모처에서 오물풍선 투하로 민간이 1명이 부상을 입은 사건이 발생했음...
Read more »
[사설] 북 ‘쓰레기 풍선’ 화재까지, 국민이 알아서 적응해야 하나5월 말부터 날아오기 시작한 북의 ‘쓰레기 풍선’이 서울과 경기 북부 일대 주민들에게 고통을 끼치기 시작한 지 벌써 100일이 지났다. 처음엔 북에서도 일부 탈북민들이 먼저 날려보내는 대북 전단을 중단하라고 욕지거리를 퍼붓더니, 지난 4~8일엔 ‘닷새 연속’ 도발을 하
Read more »
[현장] 강화 해안철책에서 24시간 들리는 '귀신' 소리탈북단체의 대북 전단에 맞대응한다는 명분을 내걸고 북한은 올해 5월부터 지금까지 10여 차례에 걸쳐 '오물 풍선' , '쓰레기 풍선'을 날려 보냈다. 며칠 전에는 풍선 기폭장치(발열 타이머로 추정)로 인해 파주의 한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쯤 되면 '풍선 폭탄'이다. 차라리 첨예한 정치적 구호가 적힌 '삐라...
Read more »
최소 3차례 불낸 북한 ‘오물 풍선’…하늘만 쳐다보는 당국북한이 날려 보낸 오물 풍선으로 인해 화재가 최소 3차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 재발 우려가 높지만 정부가 현재 기조를 유지하는 한 막을 방법은 없어 보인다. 지난 8...
Read more »
아무 말 없이 기괴한 소리만... 대남확성기에 강화 주민들 섬뜩탈북단체의 대북 전단에 맞대응한다는 명분을 내걸고 북한은 올해 5월부터 지금까지 10여 차례에 걸쳐 '오물 풍선' , '쓰레기 풍선'을 날려 보냈다. 며칠 전에는 풍선 기폭장치(발열 타이머로 추정)로 인해 파주의 한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쯤 되면 '풍선 폭탄'이다. 차라리 첨예한 정치적 구호가 적힌 '삐라...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