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무안 제주항공 참사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습니다. 국토부는 사고 조사를 위해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에서 국토부 출신 인사를 배제하고, 로컬라이저 구조물의 개선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또한, 이번 사고의 1차 원인은 '버드 스트라이크'로 재확인했습니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엿새째인 3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 대합실에서 유가족을 상대로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무안 제주항공 참사에 책임을 느낀다며 사의를 밝혔다. 국토부는 공정한 사고 조사를 위해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사조위 )에서 국토부 출신 인사를 배제키로 했다. 또 무안 제주항공 참사 피해를 키운 것으로 지목된 로컬라이저 (방위각 시설)의 ‘콘크리트 둔덕’을 제거하는 등 개선 작업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비행기록장치 일주일 내 1차 분석 가능 박 장관은 이날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여객기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전방위적인 항공 안전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항공 안전을 책임지는 장관으로서 이번 참사에 대해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면서 사의를 표명했다. 브리핑 후엔 “책임 있는 당국자로서 적절한 처신을 할 생각이고, 적절한 방법과 시기를 상의 중”이라며 “사태가 수습되는 대로 책임을 지겠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유가족 요청을 받아들여 현재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인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에서 국토부 전ㆍ현직 관계자를 배제하겠다고 밝혔다. 대규모 항공철도 사고가 발생하면 항공철도사고조사법률에 따라 사조위가 독립조직으로 설치되지만, 분과 위원에 국토부 항공정책실장 등이 당연직으로 들어간다. 이번 사고의 관건 중 하나가 로컬라이저 구조물 안전성 확보 여부인 만큼 공항시설 관리 당국인 국토부 관계자는 사조위에서 배제돼야 한다고 유가족은 지적해왔다. 이에 따라 이날 장만희 사조위 위원장(전 국토부 항공교통본부장)이 사퇴 의사를 표명했고, 상임위원인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도 이날부로 사고 조사 등 위원회 업무에서 배제됐다. 박 장관은 “로컬라이저 구조물(콘크리트 둔덕)은 규정 준수 여부를 떠나 안전을 보다 고려하는 방향으로 신속히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사고가 발생한 무안국제공항뿐 아니라 여수, 포항ㆍ경주, 광주국제공항 등에도 현재 콘크리트 둔덕이 방위각 시설을 떠받치고 있어서다. 이와 관련해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활주로 주변 안전성 확보가 중요한 만큼 각 공항 로컬라이저 구조물 재시공 등을 포함해 개선 방안을 빠른 시간 내에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정부는 전국 공항 대상으로 활주로 주변 항행안전시설의 위치 및 재질 등에 관한 특별점검을 진행 중이다. 로컬라이저는 항공기의 안전한 착륙을 돕는 일종의 안테나 장비 시설이다. 무안공항의 로컬라이저를 받치는 구조물이 딱딱한 콘크리트 둔덕으로 설치돼 사고기가 충돌하며 피해가 커졌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토부에 따르면 해당 로컬라이저는 2007년 무안공항 개항 당시부터 높이 1.8mㆍ폭 0.26mㆍ너비 3m의 콘크리트 기둥 19개를 사용한 둔덕 위에 설치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후 한국공항공사가 2020년 5월 무안공항의 로컬라이저 개량 사업을 시작해 2023년 9월~지난해 2월 기존 콘크리트 기둥 19개 일부를 깎고 그 위에 두께 0.3mㆍ폭 42mㆍ너비 3.4m 콘크리트 상판을 추가로 덧댄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 관계자는 “경찰 당국도 콘크리트 둔덕으로 설계된 이유 등을 수사하고 있다”며 “시공 경위에 법적인 문제점이 없었는지 파악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국토부는 이날 “국내외 규정을 검토한 결과, 무안공항의 로컬라이저 구조물(콘크리트 둔덕)이 현행 규정에 위배된다고 해석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해당 로컬라이저가 활주로 종단안전구역 밖에 위치해 있고, 구역 밖 시설에 대한 재질ㆍ형상에 대해 별도 규제가 없는 상태라는 것이다. 하지만 주 실장은 “규정 위배 여부와 관계없이, 로컬라이저 구조물이 최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설치돼야 하는데 공항 관리 차원에서 미흡한 측면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제주항공 무안공항 사고 로컬라이저 국토교통부 사조위 책임 개선 버드 스트라이크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둔덕 문제없다… 국토부 '비상식적' 해명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콘크리트 둔덕 위 방위각시설(로컬라이저)에 대한 국토부 해명 ‘군색’
Read more »
한미 합동조사단, 무안공항 로컬라이저 지지 구조물 조사무안 제주항공 참사 사고원인 규명을 위한 한미 합동조사단이 무안공항의 로컬라이저 지지 구조물을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Read more »
국토부 “로컬라이저 규정 위반은 아냐”…장관 ‘참사 책임’ 사의 표명제주항공 참사 피해를 키운 것으로 지목된 무안국제공항 내 ‘콘크리트 둔덕’ 설치와 관련해 국토교통부가 “규정 위반은 아니지만,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하는 방향으로 검토하는 것에는 미흡했다”고 밝혔다. 규정끼리도 충돌하는 대목은 시인하면서도, 법령 위반엔 문제가 없다고 선
Read more »
국토부, 제주항공 참사 로컬라이저 처음부터 둔덕 형태 설계국토교통부는 제주항공 참사 피해 규모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과 관련, 해당 시설은 처음부터 콘크리트 둔덕 형태로 설계됐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31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 주재로 진행한 제주항공 참사 관련 브리핑에서 '로컬라이저는 최초 설계 때도 둔덕 형태 콘크리트 지지대가 들어간 형태'라며 '그 뒤 개량사업 진행하며 분리된 말뚝 형태에 두께 30㎝ 콘크리트 상반을 (추가로) 설치해 보강했다'고 말했다.
Read more »
무안공항 로컬라이저 둔덕, 규정 충돌 논란무안 제주항공 참사 관련 국토부는 로컬라이저 둔덕 설치 규정 검토 재고. 종단안전구역 밖에 설치되어 규정 미위반 주장했으나, 정밀접근활주로 규정과 충돌 가능성 지적.
Read more »
무안 제주항공 참사, 경찰 본격 수사 착수… 로컬라이저 설치 의혹무안 제주항공 참사 관련 경찰이 본격적인 수사를 착수했다. 특히 로컬라이저 설치 여부 등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수사가 집중될 예정이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