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 여객기 사고 원인에 대해 조류 충돌과 기체 고장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불분명합니다. 다양한 전문가 분석에 따르면, 랜딩기어 작동 이상과 다른 엔진 및 제동 장치의 결함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오예진 이슬기 강태우 기자=29일 오전 발생한 무안국제공항 여객기 참사 원인과 관련해 다양한 해석이 나오는 가운데 ' 버드 스트라이크 ( 조류 충돌 )'에 따른 기체 고장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다만 조류 충돌 이 일어난 엔진 외 다른 쪽 엔진과 제동장치도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정확한 사고 원인은 오리무중으로 흘러가는 모양새다.29일 국토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54분께 무안공항 1번 활주로에 접근한 사고 여객기는 1차 착륙을 시도했다.이어 2분 후 59분께 조난신호 '메이데이'를 보낸 사고기는 9시께 당초 착륙해야 하는 방향(01활주로)의 반대 방향인 19활주로를 통해 착륙을 시도했다. 그리고 3분 후인 9시3분께 랜딩기어 를 내리지 않은 채 이 활주로에 착륙했다.항공 전문가들은 랜딩기어 가 작동하지 않은 점이 사고의 직접적 원인이 됐다는 점은 대부분 동의했다.
최기영 인하대 항공우주학과 교수는'동영상을 보면 랜딩기어가 안 펴지고, 속도가 거의 줄지 않으면서 충돌했다'며'비행기는 여러 브레이크 장치가 있는데 랜딩기어가 작동하지 않으면 엔진이 역추진하며 에어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날개 위판들이 들려야 하는데 이것도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무안 여객기 사고 현장으로 향하는 구급차긴급 출동한 119구급차들이 부상자를 이송하기 위해 사고 현장으로 향하고 있다. 2024.12.29 [email protected]김규왕 한서대 비행교육원장은'갈매기 등 새들이 엔진으로 들어가면 엔진도 망가지고, 거기에 연결된 유압시스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며'유압 시스템이 이착륙할 때 랜딩기어를 올리고 내리는데 그 부분이 망가졌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항공보안학회 회장인 황호원 한국항공대학 항공우주법학과 교수는'직접적으로 새가 랜딩기어에 부딪힌 것은 아닌 거 같고, 새가 엔진에 들어 타면서 랜딩기어를 내리는 것이 어려웠을 것'이라고 설명했다.다만 조류 충돌로 한쪽 엔진이 작동하지 않더라도 나머지 엔진으로 동력을 공급받아 랜딩기어가 작동할 수 있었다며 모든 엔진의 결함 가능성을 지적하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최기영 인하대 항공우주학과 교수는'뒤쪽 랜딩 기어들도 다 내려오지 않아 동체로 내려온 것'이라며'동체 착륙을 하면 날개 등으로 항력을 더 키워 속도를 줄여야 했는데 영상으로는 그런 것이 잘 안 보인다'고 했다.정윤식 가톨릭관동대학교 항공운항학과 교수는'유압장치가 다 고장 나도 보조 장비가 있을 텐데 그 작동이 시간이 걸린다'며'사고 나기까지 3∼4분도 안 걸렸을 텐데 보조 장치 작동에는 최대 15분까지 걸린다'고 말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조류 충돌에 따른 한쪽 엔진 고장만으로는 이러한 대형참사가 벌어지기 어렵다며 사고 원인이 조류 충돌인지, 기체 결함인지, 정비 불량인지 철저히 분석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인규 한국항공대 비행교육원장은'원인은 분석해봐야 알겠지만 애초에 랜딩기어 3개가 모두 안 나온 것은 매우 드문 현상이다. 조류 충돌만으로 일어났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며'기체결함 여부도 살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안오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박사도'단일 사고로는 절대로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 항공기 설계의 첫 번째 철학'이라며'하나의 결함만으로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꼬집었다. 그는'조류 충돌과 같은 물리적 충격으로 한쪽 엔진 유압펌프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다른 엔진으로부터 랜딩기어에 동력이 공급된다'며'이도 안되면 축압기라는 장치도 있는데 이 3가지가 모두 고장이 났다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라고 덧붙였다.장조원 한국항공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불이 났는데도 활주로 끝에 가도 정지가 안 됐다'며'무안 공항 활주로가 너무 짧다. 그래서 이탈해서 넘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권한대행, 무안 항공사고 현장 도착 원화 가치 한 달 새 5% 추락…환율 1,500원 뉴노멀될
항공 사고 무안 공항 버드 스트라이크 랜딩기어 기체 결함 조류 충돌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외신 주목방콕발 제주항공 여객기 활주로 이탈 사고, 외신들도 주목하며 사고 원인 규명에 주력
Read more »
제주항공, 무안 사고 기체 과거 사고 이력 없었다고 밝힘제주항공 김이배 대표는 29일 서울 강서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무안국제공항 사고 기체의 과거 사고 이력은 없다고 밝혔다. 또한 운항 전 점검 여부에 대해 정비 프로그램에 따라 지속적으로 정비를 하고 있으며, 이 항공기에 이상이 있었던 징후는 전혀 없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간사이국제공항 사고 알림도 관련이 없는 다른 기체라고 말했다. 현재 무안 사고 기체는 2009년 제작된 보잉 737-800 기종이며, 제주항공은 중고 기체를 2017년 2월 임차 방식으로 도입해서 운영해 왔다. 김 대표는 사고 원인은 가늠하기 어렵고 정부기관의 공식 조사 발표를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사고로 인해 유명 달리하신 탑승객과 유가족에 깊은 애도와 사과의 말씀을 전하며, 최고경영자로서 책임을 통감하고 빠른 사고 수습과 탑승자 가족 지원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ad more »
더불어민주당, 무안 여객기 사고 관련 사고 대책위원회 구성더불어민주당은 29일 발생한 전남 무안 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와 관련 당내에 사고 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수습책 마련에 나섰다. 이재명 대표는 무안에 있는 전남도당 상황본부로 이동해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정부 지원 방안을 챙기기로 했다.
Read more »
제주항공 여객기 무안공항 추락 사고버드 스트라이크 1차 원인으로 추정
Read more »
[속보] 국토부 “복행 정황 확인… 활주로 길이 탓은 아니다”국토교통부가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와 관련해 “기체 내 희생자 수습이 되는대로 즉시 사고 원인을 조사할 ...
Read more »
무안공항 여객기 사고, 버드 스트라이크 충돌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 중 활주로 끝단 구조물과 충돌한 여객기 사고, 버드 스트라이크 가능성으로 분석. 조류 충돌으로 엔진 화재 및 랜딩기어 고장, 동체 착륙 시도, 활주로 길이 부족으로 사고 발생.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