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인물 탐구생활 104] JTBC 의 혜진이 보여주는 용기
드라마의 1회. 국어시험에서 오류를 발견한 찬영고 아이들 몇 명이 선생님께 이의를 제기한다. 그러자 담당 교사는 이렇게 말한다.내 아이가 중학교 때 과학시험에서 오류를 발견하고 친구들과 함께 선생님을 찾아가 이의 제기를 했을 때 들었던 바로 그 말이었다. 그때 아이는 큰 상처를 받았고, 나는 한국의 기형적인 교육 현실이 공교육과 사교육의 경쟁 구도마저 만들어 낸 것 같아 깊은 한숨을 쉬었던 기억이 난다.드라마 은 대치동 스타강사 혜진과 준호의 로맨스에 이런 한국 교육의 현실들을 적나라하게 녹여내고 있다. 그런데 나는 이 드라마의 인물들을 보면서 희망을 느꼈다. 이 오래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가 어쩌면 사람의 마음에 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 말이다.혜진은 드라마의 배경인 대치체이스 학원의 스타강사다. 법대 재학 시절 가족의 빚을 갚기 위해 학원강사 생활을 시작한 혜진은 첫 제자 준호를 최선을 다해 가르친다. 내신 8등급이었던 준호는 고려대에 입학하는 기적을 만들어 낸다.
혜진은 실패로 기록된 무료강의 행사에서 단 한 명의 학생 시우를 위해 강의를 하는데 이 강의는 오래전 첫 제자 준호를 가르쳤을 때와 오버랩 된다. 이때 혜진은 처음 강의를 시작했을 때 느꼈던 보람이 단지 '늘어나는 아이들과 통장 잔고' 때문이 아니었음을 어렴풋이 알았을 것이다. 아직 새로운 가치를 명명하지는 못하지만, 뭔가 이대로 살면 안될 것 같은 기분이 엄습해왔을 것이고 이에 혼란을 느꼈을 것이다. 그러던 혜진은 장학금까지 받으며 다니던 최선국어를 그만두고 자신의 강의를 듣겠다고 온 시우에게 이런 말을 듣는다.이 말을 들은 직후부터 혜진은 두통에 시달린다. 이는 이제 달라져야 한다는 몸과 마음의 신호 같은 거였을 테다. 그리고 마침내 깨닫는다. 늘어나는 아이들과 통장잔고는 자신이 추구하던 가치가 아니었음을, 아이들의 성장에 함께 하는 기쁨이 자신의 가치였음을 말이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노트북을 열며] 자사고 교사인 대치동 엄마가 학원 안 보내는 이유워킹맘이기도 했던 두 교사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대표적인 학군지에서 중학생, 초등학생 딸들을 키우고 있었다. 두 교사 모두 선행 학습은커녕 학원마저 몇 군데 보내고 있지 않았다. 하지만 정작 입시 성과 좋기로 유명한 자사고 교사들은 '초등 때 사교육에 매달리는 게 얼마나 효과적인지 생각해볼 일'이라고 말하고 있었다. - 노트북,대치동,자사고인 중동고,학군지인 대치동,초등 사교육,사교육,선행학습,중동고,자사고,학업성취도,자기주도학습,노트북을 열며
Read more »
[매경이코노미스트] 현실이 된 영화 '그녀'오픈AI 발표한 GPT-4o인간의 감정 이해하고 대화'AI 의인화' 파급효과 클 것자의식 가진 AI 머지않아안전과 방향성 논의할 때
Read more »
세상을 바꾸는 소송, 돈 때문에 멈추지 않으려면[광장에 나온 판결] 민사소송법 제98조 등 '패소자 소송비용부담주의'에 대한 헌재의 합헌·각하 결정
Read more »
“돈 때문에 못 사는 사람 없어야”…14만명 손 잃은 환자에 희망주는 이 남자전자의수 제작 이상호 만드로 대표 삼성 퇴사후 3D 프린터 창업 재능기부로 시작한 의수제작 부품 직접 제작 가격 확 낮춰 손가락 전자 의수 ‘마크7D’ 올해 CES서 최고혁신상 수상 마이크로소프트 CEO도 관심 “사람들 삶 바꿀수 있어 행복”
Read more »
'돈 때문에 의수 못사는 장애인 없길 바라죠'전자의수 제작 이상호 만드로 대표삼성 퇴사후 3D 프린터 창업재능기부로 시작한 의수제작부품 직접제작 가격 확 낮춰손가락 전자 의수 '마크7D'올해 CES서 최고혁신상 수상나델라 MS CEO도 관심'사람들 삶 바꿀수 있어 행복'
Read more »
미디어 위기 시대, 인천투데이·옥천신문이 사는 법[주간함양 창간 22주년]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 지역언론의 선택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