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에서는 1일 윤석열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에서 ‘의과대학 2000명 증원’이라는 기존 정부 입장을 고수한 것에 대해 민심에 부응하기에는 부족하다는 반응이 많았다. 윤 ...
국민의힘에서는 1일 윤석열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에서 ‘의과대학 2000명 증원’이라는 기존 정부 입장을 고수한 것에 대해 민심에 부응하기에는 부족하다는 반응이 많았다. 윤 대통령 탈당 요구와 이에 대한 반발이 나오는 등 여권이 자중지란에 빠지는 모습도 보였다.
국민의힘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인 안철수 후보는 이날 통화에서 “현실적으로 올해 갑자기 의대 신입생 2000명을 더 받아서 교육을 못한다”면서 “윤 대통령이 2차 담화에서 의사와 정부, 환자·보호자들, OECD가 참여하는 공신력 있는 협의체를 만들고, 협의체에서 나온 점진적 증원 계획을 수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윤 대통령 담화에 대해 “어린애 투정 같았다”며 “당에 대한 일말의 책임감이 있다면 저렇게 대책없이 억지 부릴 수는 없다”며 실망감을 표현했다. 그는 “ 날아오는 혜성을 보면서 멸종을 예감하는 공룡들의 심정”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과 지근거리에서 일했던 한 여권 관계자도 통화에서 “숫자를 통해 대통령의 오만함, 고집불통 이미지가 희석됐어야 했는데 아쉽다”고 했다. 한 수도권 후보는 통화에서 “오늘 담화를 기초로 선거 직전에 대타협이 된다면 선거에 도움이 되지 않겠냐”며 “지금으로서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함 후보의 윤 대통령 탈당 요구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SNS에서 함 후보를 향해 “근본없이 흘러 다니다가 이 당에 들어와서 주인행세 하는 것도 모자라 이제 우리가 만든 대통령을 탈당 요구하나”라며 “얼마 전까지 하늘처럼 떠받들던 대통령을 이제 와서 자기가 낙선하게 생기니 자기 역량은 탓하지 않고 대통령을 비난하면서 탈당을 요구하는 게 니들의 감탄고토 정치 스타일이냐”라고 말했다. 홍 시장은 “선거 이길 생각은 않고 대통령 탓할 생각으로 선거하면 그 선거는 절대 이길 수 없다”라며 “제발 남은 기간만이라도 남 탓하지 말고 지역구 구석구석 돌아다니며 읍소해라”라고 말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비례 당선권 탈락’ 친윤 주기환, 대통령 민생특보 임명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친윤석열계(친윤계)로 분류되는 주기환 전 국민의힘 광주시당 위원장을 대통령 민생특별보좌관(민생특보)에 임명했다. 주 전 위원장이 국민의힘 비례위성정당인...
Read more »
윤 대통령 대국민 담화에···의료계 “추가 반박할 이유도 없어”윤석열 대통령이 1일 담화를 통해 ‘의대 2000명 증원’ 필요성과 추진 경과 등을 설명하면서 의료계가 ‘합리적이고 통일된 안’을 제시하면 증원 규모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
Read more »
진보당, 윤 대통령 담화에 “기조 변화 없이 밀어붙이겠다는 것, 절망스럽다”“의사 늘려야 한다는 데 동의하나, 지금처럼 힘으로 압박하는 것이라면 동의 어려워”
Read more »
윤 대통령 “의대 증원 필요” 담화에…의사들 “예상대로”윤석열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통해 의대 증원 2000명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하고 의료개혁 완수 의지를 드러낸 가운데 의사들의 강도 높은 비난이 이어지고 있다. 1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한 ‘의대 증원·의료 개혁, 국민께 드리는 말씀’ 담화를 통해 의사 증원과 의료 개혁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윤 대통령은 “정부의
Read more »
‘대파 값도 모르는 대통령’ 연일 경제실정 부각한 이재명...1인 25만 원 ‘민생지원금’ 제안‘갭투자 의혹’ 이영선 공천 취소에 “유권자에 유감...팔 하나 떼는 심정”
Read more »
'발목 잡은 민주당 심판해야... 여당 일할 수 있게 해 달라'국민의힘 대전시당, 총선 선대위 출범식... "대통령·대전시장·국회의원, 하나 돼야 대전 발전"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