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공항 제주항공기 참사 사태와 연말 계엄사태 부상으로 한국 사회는 민주주의 후진국은 세계 10위 경제 대국의 얼굴에 먹칠을 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연말에 발생한 계엄사태와 항공기 참사 사태는 정치적 갈등과 권력 독점 체제의 한계를 다시 한번 드러냈다.
대통령·총리 직무정지 상태서 최악의 항공기 참사 까지 우리 사회 정쟁의 늪에 빠뜨린 권력 독식 체제 개편 시급 제왕적 대통령 견제하고 의회 폭주 막을 새 질서 불가피 우리는 어느 해보다도 참담한 심정으로 새해를 맞게 됐다. 12·3 계엄사태 여파로 정국이 혼란한 와중에 발생한 무안공항 제주항공기 참변은 온 국민을 비통함에 빠지게 했다. 사고 수습 사령탑이 됐어야 할 윤석열 대통령은 계엄 도발로 직무정지에 이어 체포 위기에 몰렸다. 대통령 역할을 대신해야 할 한덕수 국무총리마저 헌법재판관 임명을 회피하다가 탄핵소추를 당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대통령 권한대행의 대행으로서 ‘1인 4역’을 수행해야 하는 실정이다. 민주주의 후진국에서도 유례를 찾기 힘든 정국 혼란이 세계 10위 경제 대국을 자부해 온 대한민국의 얼굴에 먹칠을 하고 있다.
한국의 성장이 끝났다는 이른바 ‘피크 코리아(Peak Korea)’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경제 주체들이 안간힘을 썼으나 연말 계엄 사태로 최악의 상황을 맞고 말았다. 오는 2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백악관 재입성을 앞두고 발 빠르게 대응하는 경쟁국과 달리 우리 정부는 무기력증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 모든 혼란의 기저에는 민주화 운동의 결실로 수립된 1987년 헌법 체계의 한계가 자리 잡고 있다. 승자 독식의 제왕적 대통령제는 역설적으로 대통령 자신에게 가장 큰 불행을 초래했다. 87년 이후 선출된 8명의 대통령 중 세 명이 구속됐고, 한 명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한 명은 이제 체포의 문턱에 섰다. 과도한 권력은 대통령 가족에게까지 흘러넘쳐 부인과 자식이 검찰 수사를 받는 일이 잇따랐다. 대통령 탄핵소추 양상도 갈수록 심각해진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위헌·위법의 정도가 파면에 이르지 않는다는 헌재의 판단으로 5년 임기를 채웠다. 그러나 박근혜 전 대통령은 임기를 1년 정도 남기고 파면당했고, 윤 대통령은 취임 2년7개월 만에 권한 행사가 정지됐다. 반복되는 비극을 막는 길은 권력 분산뿐이다. 20대 대선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에게 불과 0.73%포인트 앞선 윤 대통령이 여야 협치를 무시하고 권력을 독점하면서 비극을 잉태했다. 의회 권력 역시 절제력을 상실했다. 거대 야당은 무차별 탄핵으로 정부를 작동 불능 상태로 몰고 간다. 정의화 전 국회의장은 “87년 체제에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했고, 유인태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정치 개혁의 요체는 선거법 개정을 통한 다당제 안착”이라는 진단을 내렸다. 학계에서도 “비정상의 일상화는 새로운 정치 질서의 태동을 요구한다”(염재호 태재대 총장)거나, “현행 대통령제 및 대통령 개인의 이중 리스크는 한국 공동체의 존망이 걸린 문제”(박명림 연세대 교수)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일반 국민의 생각도 크게 다르지 않다. 중앙일보-엠브레인퍼블릭 신년 여론조사에서 ‘개헌 방향’을 묻는 항목에 5년 단임제를 유지하자는 의견은 33%에 불과했다. 보수·진보 응답자 모두 빠른 개헌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나라를 정쟁의 늪에 빠뜨리는 87년 체제의 한계는 선거 때마다 부각됐으나 승자는 제왕적 권력을 놓으려 하지 않았다. 새로운 질서의 출현이 절실해진 을사년(乙巳年)을 맞아 여야가 정쟁의 악순환을 끊는 해법을 도출해야 한다. 87년 체제 극복의 요체는 권력 분산이다. 대통령이 국회를 짓밟지 못하고, 의회 다수당도 막무가내로 정부를 망가뜨릴 권한이 없는, 민주주의 방어기제를 갖춘 체제의 설계를 더는 늦출 수 없다
권력 독식 체제 개편 새로운 질서 민주화 정치 갈등 항공기 참사 제왕적 대통령 의회 폭주 헌법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야권, 한덕수·한동훈 ‘권력 이양’에 “무슨 공산당 인민위원장쯤 되는가”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8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한덕수 국무총리가 윤석열 대통령의 질서 있는 퇴진과 권력 이양 방안을 논의한 데 대해 ...
Read more »
선출 권력 아닌 한·한에 ‘권력이양’…야, 한덕수 총리 탄핵 추진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8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한덕수 국무총리가 윤석열 대통령의 질서 있는 퇴진과 권력 이양 방안을 논의한 데 대해 ...
Read more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한덕수 권한대행 재판관 임명 거부로 '6인 체제'로 시작한덕수 권한대행이 후보자 임명 거부, 헌법재판소 '6인 체제'로 탄핵심판 시작. 윤 대통령은 변론준비기일 앞두고도 필요 서류 제출하지 않아 국회와 대비.
Read more »
윤석열 대통령 탄핵,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위기와 권력 구조 개편 필요성12·3 비상계엄 사태로 인해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논란이 일어나면서, 한국 정치학자들은 대통령 권한 축소 및 제도 개편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개헌을 통해 대통령 권한을 분산하고, '제2의 윤석열'을 막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특히, 대통령의 권한 집중으로 인한 사법부 강탈 등 국가 안보 구조 개편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Read more »
이진숙 헌법소원 취하하면 尹사건은?…탄핵심판 '고차방정식'(서울=연합뉴스) 이정현 황윤기 기자=헌법재판소 '6인 체제'에서 심리를 가능하게 한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의 헌법소원과 관련해 새로운 변수가...
Read more »
이재명, 권성동 대표 만나 국정 안정 협의 체제 필요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8일 국민의힘 권성동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를 만나 국정 안정 협의체 출범과 추경 필요성을 강조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