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의 한 군청에서 9급 공무원이었던 A씨(25)는 지난해 10월 공무원증을 반납했다. 중앙일보가 최근 5년 사이 퇴직한 젊은 공무원(근속연수 5년 이하) 30명을 대상으로 퇴직 이유를 조사했더니 ①낮은 보수(21명) ②조직 문화(20명) ③악성 민원 등 과다한 업무(15명) 순으로 퇴직 사유를 밝혔다(중복 응답 포함). 통계청이 만 13~34세 청년·청소년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직장을 조사한 결과 지난 2009년엔 1위 국가기관(28.6%), 2위 공기업(17.6%) 3위 대기업(17.1%) 순이었지만 지난해엔 1위 대기업(27.4%), 2위 공기업(18.2%), 3위 국가기관(16.2%) 순으로 뒤집혔다.
충북의 한 군청에서 9급 공무원이었던 A씨는 지난해 10월 공무원증을 반납했다. 2년 6개월 준비 끝에 얻은 직장이었지만, “이 길은 아니다”라는 확신이 생겨서였다. 2년 4개월의 공무원 생활에서 기억에 남는 대부분은 민원인의 욕설이었다. 2021년 첫 근무지인 민원팀 근무 때부터 “쓸모없는 애를 왜 여기에 갖다놨느냐”는 말은 예사로 들었다. 지난해 초 과를 바꾼 뒤에도 상황은 호전되지 않았다. 첫 달엔 97시간, 다음 달엔 70시간 초과 근무에 시달려야 했다. 월급은 초과 수당을 포함해 250만원. 그는 “일하다가 과호흡이 오고 일상생활이 안 됐다. 매일 울면서 출퇴근했다. 가드레일에 이대로 박고 죽어버릴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고 회고했다.A씨는 퇴직을 결행하고 일본으로 워킹홀리데이를 떠나기까지의 과정을 자신의 유튜브에 기록했다. 얼굴을 최대한 가리고 공무원의 현실을 폭로했다.
소셜미디어에서 ‘#공무원퇴사’ ‘#의원면직’ 브이로그를 찾는 건 어려운 일이 아니다. 공직을 떠난 이유나 힘들었던 일화, 퇴직 이후의 행보 등이 유튜브에 공유돼 있다. 지난 2022년 국가직으로 입직해 8개월 만에 그만둔 한 유튜버는 “각 급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제한돼있고, 인수인계 없이 업무에 바로 던져졌다”며 “또 과한 의전을 보며 굳이 저렇게까지 해야 하는지 의문이 들었다”고 말했다.‘젊공’들의 정부 엑소더스가 가속화하고 있다. 국회입법조사처가 공무원연금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근속 5년 미만 공무원 퇴직자는 2018년 5670명에서 2023년 1만3566명으로 5년 만에 2배 이상으로 늘었다. 지난해 임용되자마자 그만둔 1년 내 퇴직자는 3020명에 달했다.중앙일보가 최근 5년 사이 퇴직한 젊은 공무원 30명을 대상으로 퇴직 이유를 조사했더니 ①낮은 보수 ②조직 문화 ③악성 민원 등 과다한 업무 순으로 퇴직 사유를 밝혔다.
인상률은 9급 1호봉 기준 최근 5년간 14.3%에 그쳤다. 김정인 수원대 행정학과 교수는 “이는 군 병사 인상률의 약 10분의 1에 해당하는 셈”이라며 “내년엔 군 병사 월급보다 낮아 사기가 꺾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지방의 한 도청 9급 공무원 서모씨도 “의식주가 공짜인 병장이 165만원을 받는데 190만원을 버니 현타가 온다”고 말했다.젊공 퇴직자들은 어디로 갔을까. 30명의 퇴직 이후 행적을 추적해보니, 급수 별로 특징이 나타났다. 5·7급의 경우 미취업자 7명 중 6명이 법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거나 준비 중이었다. 경제부처를 떠나 로스쿨에 진학한 C씨는 “공직적격성평가과 법학적성시험 난이도는 비슷한데, 최종 합격 뒤 버는 월급 차이는 변호사 기준으로 6배는 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9급의 경우 취업준비를 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한국 청년들의 직업에 대한 인식이 크게 변한 것도 젊은 공무원의 조기 퇴직 배경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이 만 13~34세 청년·청소년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직장을 조사한 결과 지난 2009년엔 1위 국가기관, 2위 공기업 3위 대기업 순이었지만 지난해엔 1위 대기업, 2위 공기업, 3위 국가기관 순으로 뒤집혔다.올해 9급 공무원 공채 경쟁률은 21.8대 1로 32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23일 전국 17개 시·도에서 치러진 9급 공채 필기시험 응시율도 75.8%로 3년새 최저치를 기록했다. 5급 공채 경쟁률 역시 35.1대 1로 최근 5년 중 가장 낮았다. 이는 한국경제인협회가 지난해 하반기 500대 기업을 조사한 대졸 채용 경쟁률의 절반 이하다.
최병윤 한국행정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입직 경쟁은 여전히 높아 보이지만, 최근 몇년 사이 경쟁률이 급감한 건 낮은 임금, 위계적인 조직 문화, 악성 민원 등 복합적인 이유로 직업적 한계를 인식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지난해 '골프대회' 논란 대구시, 올해는 공무원 노래경연대회도오는 5월 골프대회 이어 10월 노래자랑 개최... 홍준표 "공무원, 자긍심 갖고 일하는 것 중요"
Read more »
숨진 김포 9급 공무원 ‘신상 공개·악성 댓글’ 단 누리꾼 수사의뢰경기 김포시가 포트홀 관련 민원 업무로 신상이 공개되고 악성 민원에 시달리다 자살한 공무원 사건과 관련해 가해 누리꾼들을 경찰에 수사 의뢰하기로 했다. 김포시는 공무집행방해와...
Read more »
‘월 93만원’ 미국 배당의 마법…노후 월급 350만원 꽂힌다SCHD 5년 평균 배당성장률은 14%이고 10년 평균성장률은 15%인 만큼 10% 배당성장은 보수적으로 기대해볼 수 있는 수치이므로 SCHD에 투자하는 건 유효하다'고 답했다. TIGER미국배당 7%프리미엄다우존스는 20년 뒤 투자액이 9800만원으로 불어나 월 배당 90만원, TIGER 미국테크TOP10%프리미엄 투자금은 2억4200만원으로 불어나 배당금이 월 200만원 나오기 때문이다. 적립기에는 미국 대표지수 ETF를 50%(KBSTAR 나스닥100 ETF, KBSTAR S&P500 ETF)와 나머지 50%를 KBSTAR TDF2040액티브 ETF에 투자해 투자금을 불리는 포트폴리오다.
Read more »
메가스터디, 공단기 인수 불발…공정위 “시장 독점으로 수강료 인상 우려”공정거래위원회가 대형 교육업체 메가스터디교육(메가스터디)의 공무원 교육업체 에스티유니타스(공단기)의 인수를 불허했다. 메가스터디가 공단기를 인수하면 공무원 시험 시장을 사실상...
Read more »
[아프리카 경제가 뛴다] '아프리카 1위 경제대국 … 제조업·에너지·농업 기회 풍부'서아프리카 관문 나이지리아75년 역사 빅3 금융그룹토니 O 엘루멜루 UBA 회장'젊은 인구 잠재력에 주목을'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