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시 1년 중도해지율 10%그쳐은행 적금 비교하면 5분의 1당국, 신용점수 인센티브 도입
당국, 신용점수 인센티브 도입 윤석열 정부의 대표적 청년 금융상품으로 연 6% 금리에 정부 기여금까지 추가로 지급해주는 청년도약계좌가 출시 1년을 맞은 가운데 중도해지율이 10%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은행권 1년 만기 적금 중도해지율 55%보다 크게 낮은 숫자다.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해 소폭의 금리 변화에도 쉽게 금융상품을 갈아타는 청년들의 재테크 트렌드를 감안하면 제도 안착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짠테크'를 하는 청년들의 고금리 적금 수요가 많다는 사실을 확인한 정부는 크게 고무된 모습이다. 금융당국은 청년도약계좌에 성실히 납입한 청년에게 신용점수 가점을 부여하는 등 추가 인센티브 제공에 나섰다.
23일 금융위원회와 서민금융진흥원은 청년도약계좌 도입 1년을 맞아 청년들과 함께 해당 상품의 성과와 향후 운영 방향, 청년 금융 여건을 논의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청년에게 보편적 자산 형성의 기회를 부여하면서 금융 여건을 개선해 기회의 격차를 줄여나가야 하는데 청년도약계좌가 그 중심축 역할을 맡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의 주요 공약인 청년도약계좌는 연 6%대 금리에 월 최대 70만원씩 5년까지 납입할 수 있다. 매달 70만원을 꽉 채워 납입하면 연 6% 금리에 정부 기여금까지 더해 5년간 최대 5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청년도약계좌는 133만명이 가입한 것으로 집계됐다. 요건을 충족한 청년층이 약 600만명으로 추정되는 것을 감안하면 5명 중 1명꼴로 가입이 이뤄진 것이다. 금융위는 향후 청년도약계좌 가입자를 위한 추가 혜택도 약속했다. 앞으로 청년도약계좌에 2년 이상 가입하고 800만원 이상 납입한 계좌 소유주에게 개인 신용평가 점수를 최소 5~10점 이상 추가 부여한다. 청년들의 긴급한 목돈 수요를 감안해 부분 인출 서비스도 도입된다. 그동안 시중 적금 상품에서 통상 제공되는 부분 인출 서비스가 도입되지 않아 청년들이 급히 목돈이 필요할 때 계좌 중도해지가 불가피했던 상황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우리가 출산율 0.7 한국 보다 더 심각해”...이 나라가 호들갑 떠는 이유日 만49세 여성 3.5명중 1명은 ‘평생 무자녀’ 2005년생은 3명중 1명 될 것 추정 한국은 아직 10명중 1명꼴...OECD 평균 이하 日 다자녀 가구 韓 보다 많은점 차이
Read more »
경총 '국민 10명중 7명 '더내고 더받는' 연금개혁안에 부정적'(서울=연합뉴스) 한상용 기자=국민 10명 중 7명은 지난 21대 국회가 논의한 '더 내고 더 받는' 국민연금 개혁안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Read more »
“집값 오르니 마음 바빠졌다”…10명중 6명 “조만간 내집 마련 계획”지난해보다 내 집 마련을 계획하는 사람이 소폭 늘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앱 사용자 8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64.9%가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 상반기 사이에 주택을 매입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주택 매입 의사가 있다고 밝힌 64.3%에 비해 0.6%p 증가한 수치다. 반면 올해
Read more »
하마스·헤즈볼라 이어 후티까지…이스라엘 '3면 전쟁' 치를 판(종합)하마스·헤즈볼라 이어 후티까지…이스라엘 '3면 전쟁' 치를 판(종합) - 2
Read more »
“월세는 올랐어요”...매매·전셋값 하락에도 웃는 오피스텔 주인들오피스텔 매매 0.47%↓ 전세 0.34%↓ 월세 가격은 작년 2분기 이후 상승 공급량 감소에 수익률 상승세 유지
Read more »
고용시장 왜곡하는 '일자리 미스매칭'… 청년 백수 130만명 육박눈높이 맞는 일자리 태부족구직기간 11.5개월 '역대 최장'청년 4명 중 1명 '그냥 쉰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