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MZ '디지털 디즈니'에 미쳤다…고퀄 짝퉁 성지 탄생 비화

중국 News

中 MZ '디지털 디즈니'에 미쳤다…고퀄 짝퉁 성지 탄생 비화
디즈니랜드화창베이의 차이점오늘날 전자제품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40 sec. here
  • 7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6%
  • Publisher: 53%

중국 선전시 최대 전자상가 단지인 화창베이(華强北)가 이번 중국 노동절 연휴 기간(5월 1일~5일)에 핫플레이스로 등극했다. 그러나 오늘날 화창베이는 ‘아시아 최대 전자제품 유통센터’이자 베이징 중관춘과 더불어 ‘중국 전자제품의 실리콘 밸리’가 됐다. 강력한 엔지니어 유전자, 시장 유전자, 기술의 응용력(짝퉁 유전자) 그리고 자유롭고 유연한 시장이 있었기에 화창베이는 중국 전자제품의 1번지가 될 수 있었다.

중국 선전시 최대 전자상가 단지인 화창베이가 이번 중국 노동절 연휴 기간에 핫플레이스로 등극했다. 중국의 많은 젊은이가 화창베이에서 저렴한 전자 제품을 쓸어왔다고 한다.」 화창베이와 관련된 중국 신문의 헤드라인이다. 애플까지 언급되는 이유는 올해 3월 말 화창베이가 자체 개발한 블루투스 이어폰 때문이다. 모델명은 ‘화창베이 팟 프로’로 이어폰 충전 케이스에 터치스크린을 장착해 볼륨, 음악 재생, 음향 효과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공교롭게도 이 디자인은 2025년까지 출시 계획이 없다고 밝힌 애플의 에어팟 프로3과 매우 유사하다. 화창베이가 애플 제품을 모방해 먼저 출시한 게 아니냐는 얘기가 나올 정도다.화창베이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몇 년 전만 해도 이 정도에 그쳤다. 그러나 오늘날 화창베이는 ‘아시아 최대 전자제품 유통센터’이자 베이징 중관춘과 더불어 ‘중국 전자제품의 실리콘 밸리’가 됐다. 모방과 변형 등 시행착오를 다 겪고 지금은 독자적인 중국 브랜드가 된 화창베이.

화창베이는 애초에 대기업으로 구성된 산업 클러스터로, 주로 기업과 거래했다. 그런데 어쩌다가 전자제품 매장의 메카로 떠올랐을까? 답은 화창베이의 두 번째 유전자와 관련이 있다. 시장 유전자다. 1984년 중국에는 약 3000개의 전자 회사가 있었다. 하지만 전자 공업의 총생산액은 274억 위안으로 당시 히타치 제작소의 절반에 불과했다. 기업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모두 제각각 분산되어 있어 힘을 모을 수 없었다. 그래서 그다음 해인 1985년, 전 전자공업부 총판공실 주임인 마푸위안이 선전의 117개 기업을 동원해 선전전자공사를 설립했다.

하지만 당시 구매 절차가 복잡해 부품 공급이 따라가지 못했고 이에 마푸위안은 개방형 전자부품 시장 구축에 앞장섰다. 재래시장처럼 수중에 물건만 있으면 노점을 차릴 수 있게 한 것이다. 그 결과 1988년 선전 최초이자 중국 최초 전자 부품 시장인 싸이거 전자시장이 등장했다. 중국 각지에서 약 200개의 제조업체가 입주하면서 화창베이는 거대 시장 시대를 열었다.여기까지 화창베이는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좁은 의미의 화창베이는 디지털 디즈니랜드로 알려진 이 지역의 전자시장을 가리킨다. 넓은 의미의 화창베이는 군사 유전자를 가진 많은 대기업까지 포함한다.2003년 미디어 텍이 대규모로 시장에 출시됐다. 이곳에서 MP3, 카메라, 터치스크린 관련 처리 기능을 휴대폰 칩에 통합하는 턴키라는 이름의 저비용 칩 솔루션을 내놓았는데 이 솔루션을 사용하면 케이스와 배터리만 추가하면 휴대폰을 만들 수 있었다. 휴대폰 조립이 갑자기 쉬워진 것이다.

We have summarized this news so that you can read it quickly.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news, you can read the full text here. Read more:

joongangilbo /  🏆 11. in KR

디즈니랜드 화창베이의 차이점 오늘날 전자제품 가지 유전자 차이나랩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왕이 만난 조태열 '한중 얽힌 실타래 풀자'왕이 만난 조태열 '한중 얽힌 실타래 풀자'베이징서 양국 외교장관 회담韓 '갈등 비화 안되게 관리'中 '우리도 어려움 원치않아'양국관계 복원엔 한목소리관계개선책 미묘한 입장차
Read more »

[유성운의 역사정치] '이승만 제거작전'까지 세웠던 美···주한미군 탄생 비화[유성운의 역사정치] '이승만 제거작전'까지 세웠던 美···주한미군 탄생 비화한국전쟁 휴전협정을 목전에 둔 1953년 6월 18일, 미국 백악관에서 열린 국가안보회의(NSC)에 참석한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이날 한국으로부터 들려온 소식에 격앙된 감정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이후엔 문맥 편의상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아이젠하워로, 이승만 대통령은 이승만으로 줄여서 호칭하겠습니다.) . - 이승만 대통령,아이젠하워 대통령,한국전쟁 휴전협정
Read more »

디지털 공장에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디지털 공장에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디지털 자본주의의 보이지 않는 공장, 디지털 팩토리①] 다르고도 같은 공장
Read more »

배달하다 숨진 26살 청년, 하루 뒤에 온 충격 메일배달하다 숨진 26살 청년, 하루 뒤에 온 충격 메일[디지털 자본주의의 보이지 않는 공장 디지털 팩토리③] 알고리즘을 공개하라
Read more »

매순간 100m 달리기 수준의 노동, 이러다 큰일난다매순간 100m 달리기 수준의 노동, 이러다 큰일난다[디지털 팩토리, 디지털 자본주의의 보이지 않는 공장②] 치명적인 작업 환경
Read more »

알테쉬가 점령한 해외직구 - 매일경제알테쉬가 점령한 해외직구 - 매일경제中 태블릿·이어폰에 몰려통계청 3월 온라인쇼핑동향1분기 中 비중 57%로 최대
Read more »



Render Time: 2025-02-25 07:06:24